"짝짓기 순간 정액으로 독살"...모기 줄이는 기발한 기술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1-08 13:37:42
  • -
  • +
  • 인쇄

짝짓기 순간 수컷 모기의 정액으로 암컷 모기를 독살하는 방법이 호주에서 개발됐다.

7일(현지시간) 호주 맥쿼리대학 연구팀은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일부 모기종을 대상으로 이같은 개체수 줄이는 기술을 시험했다고 발표했다. 수컷 모기의 유전자 조작해 체내에서 거미와 말미잘의 독 단백질을 생성하도록 만든 뒤 짝짓기를 할 때 암컷에게 이 단백질을 주입하도록 한 것이다.

유전자 조작은 작은 유리바늘로 모기알에 일일이 유전자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연구의 주요저자인 샘 비치 교수에 따르면 기존 유전적·생물학적 방제 방법에서는 모기의 생존력, 흡혈 능력, 질병 전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수컷을 이용했지만, 이번 방법은 암컷을 직접 표적으로 삼았다.

비치 교수는 "이 방법을 이용하면 암컷 모기 개체수가 빠르게 줄기 때문에 매년 3억9000만건에 달하는 모기 매개 질병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까지 몰살시킬 수 있는 살충제를 살포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멜버른대학의 진화생물학자 톰 슈미트 박사는 "모기가 살충제에 내성까지 지니게 되면서 과학자들이 다른 해충 방제법을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필립 와인스타인 애들레이드대학 교수는 "수천종의 모기 가운데 질병을 옮기는 모기는 몇 종뿐"이라며 "모기가 수분매개자이자 물고기와 박쥐의 중요한 먹이원인 점을 감안하면 모기를 박멸하지 않고도 방제하는 것이 이상적인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전세계 산호초 84% '하얗게 변했다'...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으로 전세계 산호초 84%에서 백화(白化)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미국 산호초감시기구(CRW)는 지난 2023년 1월 이후 최소 82개국 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