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연안 해수면이 지난 35년동안 10㎝ 이상 높아졌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21개 연안 조위관측소 해수면 높이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난 35년간 해수면이 평균 10.7㎝ 상승했고, 갈수록 상승 속도도 가팔라지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1989년~2023년까지 35년간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은 동해안이 1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서해안 11.2㎝, 남해안 9.6㎝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 중에는 울릉도가 17.9㎝로 가장 크게 상승했다.
해수면 상승 속도는 갈수록 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2013년까지 과거 10년간 약 2.8㎝ 상승한 것에 비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간 해수면은 약 3.9㎝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대비 1.1㎝ 더 높이 올라간 셈이다.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으로 인한 해양 열 팽창, 남·북극 빙하 붕괴 등 기후변화로 인한 현상들이 지목되고 있다.
해수부 국립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지표인 해수면 상승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 30년 이상 관측자료가 축적된 우리나라 연안 21개 관측소 수집 자료를 분석하고 2009년부터 매년 해수면 상승 속도를 발표하고 있다.
조사원에 따르면 2009년 기준 해수면이 34㎝ 상승했을 때 여의도 면적의 83배에 달하는 연안이 물에 잠기고, 해수면이 72㎝ 상승하면 여의도 면적 119배가 잠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때, 우리나라의 환경 정책이 대체로 잘 적용되더라도 2100년에는 해수면이 최대 73㎝까지 상승한다. 즉, 본격적인 기후변화 대응이 없으면 75년 후에는 지금의 연안 지역 대부분이 물에 잠겨버린다는 것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을 감시·예측하고 종합 데이터를 구축해 관리하는 것은 기후위기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삶의 터전인 연안을 기후변화로부터 지키고 재해로부터 안전한 연안을 만들기 위해 제3차 연안정비 기본계획 수정계획을 수립하고, 지난 10월 시행된 '기후변화감시예측법'에 따라 해양과 극지의 환경, 생태계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감시와 예측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