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담배를 사재기하는 사람들이 등장하자, 구입 품목을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소셜미디어(SNS)에서는 "민생지원금 절망편"이라며 소비쿠폰으로 담배 15갑을 샀다는 인증 사진이 올라왔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흡연지원금" "세금 페이백(환) 이벤트" "(담배의) 세금 환수율만 생각하면 애국"이라며 비꼬았다.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편의점에서 담배를 구입할 때도 사용할 수 있느냐는 문의가 끊이질 않는다고 한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마트를 운영하는 40대 A씨는 "소비쿠폰 지급 첫날부터 어르신들이 담배를 두세 보루씩 사 가곤 한다"며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때도 이런 경험이 있어서 술, 담배 발주를 더 넣을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담배 매출 증가로 이어진 바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차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2020년 5∼8월 담배 판매량은 12억5000만갑으로 전년 같은 기간의 12억200만갑에 견줘 4.0% 늘었다.
그러나 담배는 마진율이 5% 수준으로 일반 상품(20∼30%)보다 훨씬 낮아 자영업자들이 얻는 실질 이득은 매우 적다. 가령 4500원짜리 담배 한 갑당 순이익은 고작 200원 남짓이다.
일각에선 구매 품목을 제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담배는 저장과 보관이 간편해 차후 현금으로 바꾸는 '담배깡'도 가능하다.
또다른 일각에서는 "민생지원금 자체가 국가예산을 시장 경제에 재투자하는 것"이라며 "세금 환수가 기본 전제므로 본래의 목적에 맞게 쓰는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