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최저기온과 최고기온도 높아져
한반도의 기온상승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빨라지고 있다. 2023년에도 '역대급 더운 해'를 기록했는데 2024년의 평균기온은 이보다 더 높아져 '역대 가장 더운 해'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2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평균기온은 14.5℃로, 기상관측망이 대폭 확충돼 기상기록 기준점이 되는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다. 13.7℃를 기록한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연평균기온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평년(1991~2020년 평균) 연평균 기온인 12.5±0.2℃와 비교하면 2℃나 높아진 상황이다.
연평균 기온뿐 아니라 일최저기온과 일최고기온 연평균도 지난해가 역대 가장 높았다. 지난해 평균 최저기온은 9.9℃로 10℃에 육박했고, 평균 최고기온은 19.7℃로 20℃에 가까웠다.
지난해는 '덥지 않은 달'이 없었다. 지난해 12개월 가운데 평균기온이 평년기온보다 낮은 달은 단 한달도 없었다.
여름철에는 40℃를 기록(8월 4일 경기 여주시 점동면)한 지역이 있을 정도로 극단적 폭염이 발생했다. 늦더위까지 계속 이어지면서 9월 평균기온은 24.7℃로 평년 20.5℃보다 4.2℃나 높았다. 그나마 예년과 기온이 비슷했던 달은 5월인데, 이때도 평균기온이 17.7℃로, 평년기온 17.3℃를 0.4℃ 웃돌았다.
한반도 기온상승의 원인은 기후변화에서 비롯되고 있다.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 순위를 보면 상위 10위 중 1998년(5위)과 1990년(10위)을 제외하면 모두 2000년 이후다.
특히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은 역사상 제일 뜨거웠던 5년이다. 이 가운데 연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때가 바로 2024년이다. 그 다음이 2023년이고, 2021년은 네번째로 높았고 2020년은 7번째로 높았다. 5년 가운데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았던 2022년도 연평균 기온은 11번째로 높았던 했다.
지난해 기온상승은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발생했다.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기구인 코페르니쿠스기후변화연구소(C3S)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평균 지표면 기온이 1991∼2020년 평균보다 0.72℃ 높았다. 이는 아직 산업화 이래 가장 뜨거웠던 해인 2023년보다 0.14℃ 높은 것이다.
C3S는 지난해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이 산업화(1850~1900년) 이전보다 1.5℃ 이상 높아질 것이 확실하다고 했다. 1.5℃는 지난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국제사회가 설정한 일종의 '기후 마지노선'인데 이것이 뚫린다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산업화 이전대비 지구 평균기온이 확실하게 1.5℃를 넘어섰다고 결론짓기 위해서는 20년 평균치로 계산해야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대형 화산폭발, 엘니뇨 등 여러 변수가 끼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아직까지 '기후 마지노선'이 완전하게 붕괴했다고 볼 수는 없지만, 1.5℃를 일시적으로만 초과해도 전 지구에 돌이킬 수 없는 영향이 남을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우려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