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韓中 향해 압박..."30년간 경제성장했으니 기후자금 내라"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7 15:00:51
  • -
  • +
  • 인쇄
▲웁케 훅스트라 EU 기후 담당 집행위원 (출처=연합뉴스)


유럽연합(EU) 기후담당자가 한국과 중국 등을 겨냥해 "주요 선진 개발도상국들은 기후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가난한 국가들을 도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웁케 훅스트라(Wopke Hoekstra) EU 기후담당 집행위원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중국을 비롯한 거대 개발도상국, 걸프만 산유국 등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거대 개발도상국을 더이상 기후원조 의무에서 제외시켜서는 안된다"며 "우리는 훨씬 더 많은 돈이 필요하며 기본적으로 돈을 낼 능력이 있는 모든 사람이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기후금융, 기후행동에는 훨씬 더 많은 돈이 필요할 것"이라며 "단순하게 20%~30% 더 많다 수준이 아니라 향후 몇 년동안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매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서는 '기후자금'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기후위기로 피해를 본 빈곤·저개발국에게 재정지원을 해야 한다는 명제는 동의했지만 구체적인 자금 조달에는 매번 실패했던 것이다. 이달말 열리는 COP28에서도 각국 정부가 '손실 및 피해기금'을 조성하는데 합의했지만 구체적인 자금마련 방안은 나오지 않았다. '손실 및 피해기금'이란 기후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가난하고 취약한 지역사회의 구조와 복구를 위한 국제기금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던 선진국들이 중국 등 거대 개발도상국들을 향해 "자금 마련에 힘을 보태라"고 나섰다. 중국과 한국 등은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될 당시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돼 기후자금을 낸 적이 없는데 이를 철회하라는 것이다. 

훅스트라 위원은 "중국과 한국 등 지난 30년동안 상당한 경제성장을 일군 국가들에게 말하건대, 그 성장의 과실에는 책임이 따른다"며 "우리는 진정으로 모든 사람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그는 "이미 저개발국들은 주요 경제국들이 기금에 참여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며 "나는 이에 대해 낙관적이다"고 말했다. 

다만 많은 국가들은 "손실 및 피해 기금 기부금이 국부나 온실 가스 배출량에 근거해 강제적으로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인 선의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해 실제 모금에는 난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 지정학적 위기도 손실 및 피해 기금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최근 많은 유럽 지역에서 반환경 의제를 추진하는 정당들이 득세해 많은 EU회원국들이 EU 그린딜 등의 기후정책에 발을 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하마스 분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적 긴장 또한 증가하기 때문이다.

훅스트라 위원은 "지정학적으로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그럴수록 전세계가 힘을 모아야 한다"며 "우크라이나와 중동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의 긴장 등 강대국의 패권경쟁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는 "법치, 인권, 민주주의 자체에 대한 반발도 나오고 있다"며 "우리가 맞서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은 COP28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신 고위급 대표를 보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색깔로 위험인지'...CJ제일제당, 안전예방 위해 '색채 디자인' 적용

CJ제일제당이 안전한 일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업장과 물류센터에 '컬러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CJ제일제당은 이를 위해 지난 3일 서울 서초

[최남수의 ESG풍향계] '독립이사'로 명칭 바뀌면 '거수기' 벗어날까?

상법 개정안이 지난 7월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데 이어 공포됐다. 이번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상장회사 감사위원의

카카오임팩트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카카오의 기업재단 카카오임팩트가 지난 9월 4일부터 3일간 기후기술 회의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기후기술과 AI, 미래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기후/환경

+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2035 NDC' 감축목표 53%? 67%?...환경부, 이달내 2개로 압축

정부가 이달 내로 '202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해 복수의 안을 국회에 제시한다.환경부는 8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 현재 각계

강릉 저수율 12.4%…비 안내리면 4주 내 바닥난다

남부 지방은 비 예보가 있지만 가뭄에 메말라가는 강릉은 아직도 비 소식이 없다. 지금 이대로 가면 4주 이내에 강릉의 저수율은 5% 밑으로 떨어질 것으

'최악 가뭄' 강릉 저수율 12.6%...평창 도암댐 물 활용논의

강원 강릉이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연일 급수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상수원은 계속해서 말라붙고 있다.강릉의 오봉저수지의 저수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