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새 장내 독성미생물 급증..."미세플라스틱 먹기때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8 17:14:51
  • -
  • +
  • 인쇄
면역력 낮추고 독소 방출하는 미생물 늘어
바닷새 유행병 늘면서 인간 종간감염 우려


미세플라스틱 때문에 바닷새의 장내 유해미생물이 급증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독일 울름대학교 글로리아 파켈만 박사후 연구원 주도 연구팀이 캐나다와 포르투갈의 바닷새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바닷새 장속에 항생물질의 내성을 가진 미생물과 플라스틱을 분해하면서 독소를 방출하는 미생물 등이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현재 바다에는 직경 5mm 이하의 입자의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230만톤가량 떠다닌다. 먹이활동을 비롯해 해수면 위에서 오랜시간을 보내는 바닷새들은 이렇게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섭취하다보니 미세플라스틱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연구팀은 캐나다 키키커화크 지역의 이누이트족 사냥꾼들에게 기증받은 북방풀마갈매기 27마리,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에서 빌딩에 부딪혀 죽은 코리슴새 58마리의 사체에서 소화액이 분비되는 '전위'와 대변을 배출하는 '배설강' 샘플을 채취해 분석했다.

▲시료가 채취된 북방풀머갈매기(연보라)와 코리슴새(연두색)의 활동반경 (자료=네이처 생태와 진화)


그 결과, 미세플라스틱을 더 많이 섭취한 바닷새일수록 장내 미생물이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장내에 미생물이 다양하면 건강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해 장내 미생물이 다양해질 경우 정반대의 상황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세플라스틱에 더 많이 노출된 바닷새의 내장에는 항생 물질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이 늘어나 바닷새가 질병에 더 취약하게 만들었다. 또 산성을 띤 소화기관 속에서 플라스틱을 변형시키고 분해하는 기능을 가진 미생물도 나타났다. 플라스틱 제조시 쓰이는 화학성분 1만여 가지에 달한다. 플라스틱이 분해되면서 화학성분이 새어나오게 되는데, 대부분 생체에 해로운 독성물질이다.

지난 1일 영국 자연사박물관 연구팀이 바닷새의 소화기관에 지속적인 염증을 유발하는 미세플라스틱의 '물리적 피해'를 입증한 데 이어, 이번 연구에서는 바닷새에 미치는 '화학적 피해'가 입증된 것이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의 화학적 피해에 대한 연구는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실 환경에서 진행된 적은 있지만, 실제 생태 환경의 사례를 가지고 연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사람의 경우 바닷새에 비해 미세플라스틱 섭취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장내 미생물 환경에 있어 바닷새만큼의 변화는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고 밝혔다. 다만 인간에게도 충분히 부수적인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주의 깊게 들여다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바닷새들이 점차 질병에 취약해지면서 새로운 유행병이 돌게 되면 언제 사람에게 종간 감염으로 이어질 지 모른다는 것이다.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의 플라스틱 생물학자 마틴 바그너 연구원 "자연 생태계를 방해할수록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염되는 질병인 동물원성 감염증이 발생할 확률이 늘어난다" 우려했다.

해당 연구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와 진화'(nature ecology & evolution)에 27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추석 선물세트 포장재 종이로 교체 'ESG 강화'

이번 추석 선물세트 시장에서 현대백화점은 과일세트 포장을 100% 종이로 전환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현대백화점은 기존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K-컬쳐 뿌리 '국중박' 하이브와 손잡고 글로벌로 '뮷즈' 확장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반려호랑이 '더피'의 굿즈를 판다는 소문이 나면서 전세계에서 가장 핫해진 국립중앙박물관이 방탄소년단(BTS)의 하

하나은행, 美글로벌파이낸스 선정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 수상

하나은행은 미국의 글로벌 금융·경제 전문지 '글로벌파이낸스지(誌)'로부터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Best Sub-Custodian Bank in Korea 2025)'으로 선

LG생활건강, 청년기후환경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 활동 성료

LG생활건강이 자사의 청년기후환경활동가 육성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YOUTH)'가 2025년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지

쏟아지는 추석선물세트...플라스틱·스티로폼 포장 '여전하네'

추석을 맞아 다양한 선물세트가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대를 장식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는 선물세트들

쿠팡 '납치광고' 반복한 파트너사 10곳 형사고소...수익금 몰수

쿠팡이 이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쿠팡사이트로 이동시키는 이른바 '납치광고'를 해온 악성파트너사 10곳에 대해 형사고소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납

기후/환경

+

황사만 날아온게 아니었다...봄철 초미세먼지 55%는 '중국발'

봄마다 중국에서 날아오는 불청객은 황사뿐만이 아니었다. 국내 초미세먼지의 절반 이상도 중국에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국립환경과학원

3만년도 넘은 美 만년설 100년만에 사라질 위기

빙하기 때부터 이어져온 미국 산맥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2100년에 이르면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위스콘신대 매디슨

전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 사상 첫 석탄 추월...중국과 유럽 덕분

전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석탄 발전량을 넘어섰다.국제에너지 분석기관 엠버(Ember)가 7일(현지시간) 발표한 '2025 상반기 글로

충북 옥천 동쪽서 규모 3.1 지진 발생…"피해 보고는 없어"

8일 오전 충북 옥천 동쪽 지역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55분쯤 충북 옥천군 동쪽 약 10km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

대만 화롄서 또 지진…새벽에 규모 5.0 진동에 '화들짝'

지난 4월 강진으로 피해를 입었던 대만 화롄 지역에서 8일 오전 또다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대만 중앙기상청(CWB)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전 6시

수령 어려진 열대우림...탄소저장공간 1억4000만톤 사라져

열대지역 나무들의 수령이 어려지면서, 숲에 저장돼있다 방출된 탄소가 1억4000만톤에 이른다는 연구가 나왔다.2일(현지시간) 독일 GFZ헬름홀츠 지구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