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요금 동결"...서울시 '버스 이동거리 따라 추가요금'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8 12:37:31
  • -
  • +
  • 인쇄
경기도, 물가인상 고려해 '버스요금' 동결 방침
서울시, 기본요금 인상에 거리비례제까지 도입
▲서울시가 올해 버스에 '거리비례제'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올해 버스와 지하철 기본요금 인상과 함께 버스도 거리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거리비례 운임제' 도입을 추진하는 반면, 경기도는 고물가와 고금리 상황을 고려해 버스요금 동결 방침을 정해 대조를 보였다.

서울시가 지난 6일 시의회에 제출한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조정 계획안에 대한 의견청취안'에 따르면, 버스요금을 현행 균일요금제에서 거리비례제로 바꾼다. 서울시는 현재 지하철은 탑승거리에 따라 요금을 더 내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버스는 기본요금만 내도록 하고 있다. 

간·지선버스는 탑승거리가 10㎞~30㎞이면 5㎞마다 150원씩 추가되고, 30㎞를 넘으면 여기에 150원이 더 추가된다. 광역버스는 30∼60㎞이면 5㎞마다 150원, 60㎞ 초과하면 여기에 150원을 더 내야 한다. 심야버스의 경우는 30∼60㎞까지 5㎞마다 140원, 60㎞ 초과하면 150원이 더 부과된다. 다만 마을버스는 균일요금제를 유지한다.

서울시는 버스 기본요금을 300~400원 올릴 예정인데, 여기에 거리비례제까지 도입하면 버스요금 인상률은 대폭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서울 시내버스 일반요금은 교통카드를 사용했을 경우에 1200원인데, 이 기본요금이 1500~1600원으로 오르고 탑승거리가 15km이면 1650~1750원을 내야 한다. 또 탑승거리가 21km이면 300원이 추가돼 1800~1900원이 되는데, 이 경우는 버스요금이 무려 50~58% 인상되는 셈이다. 

광역버스 기본요금은 2300원에서 3000원으로 700원 인상하는 안이 마련됐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경기 광역버스(경기순환버스)와 요금 수준을 맞추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경기순환버스의 기본요금은 3050원이다. 마을버스는 900원에서 1200원으로 300원 인상하기로 했다. 심야버스는 심야 운행 인건비를 고려해 2150원에서 2500원으로 350원 올린다.

지하철은 현행 카드기준 기본요금 1250원을 1550원 또는 1650원으로 인상하는 두 가지 안을 제시했다. 인상폭(300∼400원)은 버스와 동일하다. 거리비례제에 따른 추가 요금은 10∼50㎞는 5㎞마다 100원~150원, 50㎞ 초과 시에는 8㎞마다 100원~150원으로 50원씩 올린다. 장거리 지하철 승객의 실질 인상폭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은 이용수단 중 높은 기본요금을 부과하는 규정은 그대로 가되, 기본거리 초과시 5㎞당 현재 100원에서 150원을 부과하는 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버스요금 동결을 선언한 경기도는 서울시의 버스 거리비례제를 반대하고 나섰다. 최근 치솟는 물가인상을 고려해 도내 버스요금을 동결하는 마당에 서울시의 거리비례제로 사실상 요금이 인상되는 것은 민생경제에 크게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경기도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가장 많고, 1인당 대중교통 이동거리도 전국에서 가장 길다. 국토교통부의 '2021년 대중교통 현황조사'에 따르면, 경기도민의 대중교통 1인당 탑승거리는 23.8㎞다. 서울시민 18.4km에 비해 훨씬 길다.

현행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에서는 기본거리 10㎞를 초과하면 5㎞마다 100원의 거리비례 추가요금(다만 지하철의 경우 50㎞ 이후부터 8㎞당 100원)이 붙는다. 이에 따라 지리적 여건상 상대적으로 대중교통을 장거리 이용하는 경기도민의 경우 기본요금 인상보다 거리비례 추가요금의 인상이 더 부담될 수밖에 없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7일 도정 연설에서 "전방위적인 물가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버스요금마저 오른다면 도민들이 체감하는 어려움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경기도는 '버스요금 동결'을 시작으로 대중교통체계를 개선하는 중장기 대책을 빈틈없이 준비해 도민들의 시름을 덜어드리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이달 10일 열리는 공청회와 시의회 의견 청취와 물가대책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요금인상을 확정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