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 기생충 급감...기후변화로 수온상승이 원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0 17:14:57
  • -
  • +
  • 인쇄
140년전 어류표본이 밝혀준 기생충 위기
기생충, 먹이사슬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
▲어류 표본의 배를 갈라 기생충을 확인하는 연구진 (사진=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물고기를 숙주로 하는 기생충이 지난 100여년 사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첼시 우드(Chelsea Wood) 박사 연구팀이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이 소장한 어류 표본을 연구한 결과 물고기 기생충 개체수가 10년마다 11%씩 감소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이 소장한 8종의 어류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어류 표본들은 미국 본토에서 두번째로 큰 강어귀인 '퓨젓사운드'에서 채집한 것으로, 188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연구팀은 총 699마리 표본에서 촌충을 비롯해 85종 1만7259마리의 기생충을 확인했다.

포유류나 조류 표본은 피부와 가죽, 깃털 등만 남겨 박제하지만 어류 표본은 파충류나 양서류 등처럼 알코올 등의 방부제 용액에 넣어 보관함으로써 채집 당시 몸 안에 있는 기생충이 그대로 보존된다.

이런 기생충은 한 숙주에서 일생을 마치는 종도 있지만, 대부분은 알, 유충, 성체 등으로 탈바꿈하면서 3개 이상 숙주를 옮겨다닌다. 퓨젓사운드 어류 표본에서 확인된 기생충도 절반 이상이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니는 종들인데, 10년에 11%씩 개체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까지 완전히 사라진 기생충 10종 중 9종이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니는 종으로 밝혀졌다.

우드 박사는 "하나나 두 개의 숙주만 옮겨다니는 종은 상당히 안정적이었지만 3개 이상 숙주를 옮겨다닌 종은 (개체수가) 추락했다"면서 "상황이 너무 심각해 포유류나 조류처럼 사람이 관심을 두는 종이었다면 보존 조치가 이뤄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버크 박물관의 어류 표본 (사진=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


연구팀은 기생충이 두려움이나 혐오감을 유발하는 생물이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생태계에 걱정스러운 뉴스라고 강조했다.

기생충 생태학이 아직 걸음마 단계이기는 하나 복잡한 생활사를 가진 기생충이 먹이사슬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고 최상위 포식자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미 밝혀져 있다는 점에서 어류의 기생충 급감이 좋은 소식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어류 기생충 급감의 원인으로 퓨젓사운드의 수질 오염과 수면 온도, 숙주 어류종의 상황 등을 검토했다. 그 결과 1950∼2019년 1℃가 오른 해수면 온도가 오른 것이 가장 설득력 있는 원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알과 유충, 성체 등으로 바뀌면서 3개 이상 숙주를 옮겨다녀야 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진 기생충으로서는 어느 때든 수온 상승에 따른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우드 부교수는 "이번 연구는 퓨젓사운드에서 어류 기생충이 많이 감소했다는 점을 보여줬다"면서 "이곳처럼 많은 연구가 이뤄진 생태계에서 기생충 급감이 부지불식간에 일어날 수 있다면 다른 곳은 어떻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는 기생충 종이 정말로 위험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며, 이는 인류가 의존하는 기생충발 생태 서비스가 줄어든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나쁜 소식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볼락(copper rockfish) 아가미서 나온 흡충류 기생충(Microcotyle sebastis) (사진=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러쉬 '후탄' 배쓰 밤 출시...수익금 75% 멸종위기종 보호에 기부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코리아가 5월 22일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아 멸종위기 핵심종 보호메시지를 담은 '후탄(Hutan)' 배쓰 밤을 선보였다

카카오, 합병 11년만에 다음 분사...'다음준비신설법인' 설립

카카오가 다음을 합병한지 11년만에 독립법인으로 분사한다.카카오는 22일 오전 이사회를 통해 포털 다음(Daum)을 담당하는 콘텐츠CIC를 '다음준비신설법

국립환경과학원·SK하이닉스 '반도체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에 '맞손'

반도체 생산에서 폐기까지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국립환경과학원과 SK하이닉스가 협력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2일 경기 이천

피자도 받고 소외청소년에 기부도...22일 '업비트 피자데이'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오는 22일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맞아 '2025 업비트 피자데이'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비트코인 피자데이'는

현대百, 크리스마스 트리로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조성

현대백화점이 지난해 크리스마스 트리 연출에 사용됐던 전나무를 활용해 도심숲 조성에 나선다.현대백화점은 오는 22일 서울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더

경기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 90% 지원

경기도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내 민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텀블러세척기 구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

기후/환경

+

엘니뇨 물러간 올여름 작년보다 덜 덥고 비 많다

엘니뇨가 물러간 올여름은 지난해보다 폭염은 덜해질 수 있지만 비는 더 많이 쏟아질 예정이다.23일 기상청은 '6~8월 3개월 전망'에서 올여름 기온은 평

기상인력 수백명 해고됐는데...美 허리케인 10개 강타 예고

올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최대 10개의 허리케인이 미국을 강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30년간 해마다 평균 7개의 허리케인이 강타한 것과 비교

호주 남동부 역대 '최악의 홍수'...4만8000명 고립

호주 남동부 뉴사우스웨일즈주에 역대 최악의 홍수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홍수로 인해 4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4만8000명이 고립됐다.23일 호

펭귄 똥에서 나오는 암모니아...기후변화 영향 줄인다

남극 펭귄들의 배설물(guano)에서 방출되는 암모니아가 기후변화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3일 핀란드 헬싱키대학 매

370마리 남은 북대서양 참고래...저출산으로 사라질 위기

북대서양 참고래가 매년 50마리의 새끼를 낳아야 명맥이 유지되는데 해마다 출산하는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수년 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20일(현지시

침엽림 산불피해 1.5배 높다...수종 다양한 숲 '산불 방패막'

침엽수로 조성된 산림은 여러 수종이 섞여있는 혼합림에 비해 산불이 발생했을 때 1.5배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실제로 올 3월 의성에서 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