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 기생충 급감...기후변화로 수온상승이 원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0 17:14:57
  • -
  • +
  • 인쇄
140년전 어류표본이 밝혀준 기생충 위기
기생충, 먹이사슬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
▲어류 표본의 배를 갈라 기생충을 확인하는 연구진 (사진=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물고기를 숙주로 하는 기생충이 지난 100여년 사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첼시 우드(Chelsea Wood) 박사 연구팀이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이 소장한 어류 표본을 연구한 결과 물고기 기생충 개체수가 10년마다 11%씩 감소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이 소장한 8종의 어류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어류 표본들은 미국 본토에서 두번째로 큰 강어귀인 '퓨젓사운드'에서 채집한 것으로, 188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연구팀은 총 699마리 표본에서 촌충을 비롯해 85종 1만7259마리의 기생충을 확인했다.

포유류나 조류 표본은 피부와 가죽, 깃털 등만 남겨 박제하지만 어류 표본은 파충류나 양서류 등처럼 알코올 등의 방부제 용액에 넣어 보관함으로써 채집 당시 몸 안에 있는 기생충이 그대로 보존된다.

이런 기생충은 한 숙주에서 일생을 마치는 종도 있지만, 대부분은 알, 유충, 성체 등으로 탈바꿈하면서 3개 이상 숙주를 옮겨다닌다. 퓨젓사운드 어류 표본에서 확인된 기생충도 절반 이상이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니는 종들인데, 10년에 11%씩 개체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까지 완전히 사라진 기생충 10종 중 9종이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니는 종으로 밝혀졌다.

우드 박사는 "하나나 두 개의 숙주만 옮겨다니는 종은 상당히 안정적이었지만 3개 이상 숙주를 옮겨다닌 종은 (개체수가) 추락했다"면서 "상황이 너무 심각해 포유류나 조류처럼 사람이 관심을 두는 종이었다면 보존 조치가 이뤄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버크 박물관의 어류 표본 (사진=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


연구팀은 기생충이 두려움이나 혐오감을 유발하는 생물이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생태계에 걱정스러운 뉴스라고 강조했다.

기생충 생태학이 아직 걸음마 단계이기는 하나 복잡한 생활사를 가진 기생충이 먹이사슬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고 최상위 포식자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미 밝혀져 있다는 점에서 어류의 기생충 급감이 좋은 소식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어류 기생충 급감의 원인으로 퓨젓사운드의 수질 오염과 수면 온도, 숙주 어류종의 상황 등을 검토했다. 그 결과 1950∼2019년 1℃가 오른 해수면 온도가 오른 것이 가장 설득력 있는 원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알과 유충, 성체 등으로 바뀌면서 3개 이상 숙주를 옮겨다녀야 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진 기생충으로서는 어느 때든 수온 상승에 따른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우드 부교수는 "이번 연구는 퓨젓사운드에서 어류 기생충이 많이 감소했다는 점을 보여줬다"면서 "이곳처럼 많은 연구가 이뤄진 생태계에서 기생충 급감이 부지불식간에 일어날 수 있다면 다른 곳은 어떻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는 기생충 종이 정말로 위험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며, 이는 인류가 의존하는 기생충발 생태 서비스가 줄어든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나쁜 소식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볼락(copper rockfish) 아가미서 나온 흡충류 기생충(Microcotyle sebastis) (사진=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기후/환경

+

2만톤 급수에도 저수율 13% 붕괴 직전...강릉시, 아파트 수돗물 잠근다

이번 주말에 서울과 수도권에는 100㎜가 넘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지만 정작 비가 절실한 강릉은 비소식이 전혀 없어 물 부족 사태는 주말 사

서울 온실가스 70% 건물서 배출..."건축물 녹색전환 위한 제도지원 시급"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건축물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관리 지원할 제도나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어서 건축물에 대한 녹색전환 제도를 마련

아프간 이틀만에 또 6.2지진...세차례 지진에 사망자 '눈덩이'

아프가니스탄이 세 차례에 걸쳐 발생한 지진으로 사상자가 3600여명이 넘어섰다.독일 지구과학연구센터(GFZ)에 따르면 아프간 동남부 지역에 4일(현지시

[주말날씨] 이틀간 '100㎜' 퍼붓는다...가뭄 겪는 강릉은?

이번 주말에도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강한 비가 쏟아진다.토요일인 6일은 늦은 새벽 수도권과 충남권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돼 오전중에 강원 내륙&middo

[윤미경칼럼] '강릉의 가뭄'...무엇이 최악사태 불렀나?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은 강릉의 상황은 참담하다. 수도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제한급수를 사상 처음으로 실시하고 있고, 개학한 학교에서는 개

물이 얼마나 빠졌으면...오봉저수지 20년만에 발견된 '티코'

극심한 가뭄에 저수율이 13%대로 떨어진 강릉 오봉저수지에서 20여년전에 수몰됐던 티코 차량이 발견돼 화제다.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찰과 강원도소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