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겨울' 사라진다...60년 후 벌어질 끔찍한 시나리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12-29 10:25:27
  • -
  • +
  • 인쇄
기상청 '지역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발간
남부지역 '겨울' 사라지고, 절반이 여름철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금세기말 우리나라에서 겨울이 거의 사라지고 여름이 절반 이상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서 제시한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와 지난해 산출한 남한 고해상도(1㎞) 기후변화 시나리오 등을 토대로 한 '지역 기후변화 전망보고서'를 29일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와 220여개 기초자치단체 등의 기후변화 전망에 대한 상세정보가 담겨있다.

IPCC 6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0년 지표면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1.09℃ 상승했고, 현 수준으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면 2021~2040년 중 1.5℃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도 1991~2020년 최근 30년간 평균기온이 1912~1940년에 비해 1.6℃ 상승했고, 이로 인해 극심한 더위와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IPCC의 기후 시나리오에 의하면 21세기 후반기 전지구의 평균기온은 온실가스 배출 정도에 따라 1995~2014년 대비 1.9~5.2℃ 상승한다. 강수량은 5~10% 증가하며, 해수면은 46~87cm 상승하고 해수면 온도도 1.4~3.7℃ 올라간다.

▲현재 및 미래 평균기온 및 강수량 변화 (자료=기상청)

한반도 역시 기후변화로 인해 21세기 후반 평균기온이 2.6~7℃까지 오르며, 강수량은 3~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남한의 기후는 2.3~6.3℃ 상승하고, 강수량은 3~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광역지자체별로 보면 '온실가스를 현재와 비슷하게 배출하는 경우'(SSP5-8.5·고탄소시나리오) 연평균 기온은 금세기말에 17.0~21.9℃로 현재(10.5~16.1도)보다 약 6도 높아진다. 연평균 기온 상승폭이 가장 큰 지자체는 서울과 경기로 6.7℃였다.

또 금세기 후반 남한 대부분의 지역은 겨울이 사라지면서 한파 역시 자취를 감출 전망이다. 현재 한파일은 0~21.9일이다.

특히 부산·대구·광주·울산·전북·전남·경남·제주 등 남부지역 8곳은 금세기 후반기인 2081~2100년에 겨울이 완전히 사라진다. 서울도 현재 102일이었던 겨울이 28일로 줄고, 127일이었던 여름이 188로 늘어난다. 기상학적으로 겨울은 '일평균기온이 5℃ 미만으로 떨어진 뒤 다시 올라가지 않았을 때'의 첫날로 본다. 1991~2020년 겨울일수는 평균 '12월 4일부터 이듬해 2월 28일까지' 87일이었다.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온난화에 의한 기온상승 때문이다.

현재 한반도의 여름일수는 평균 5월 31일~9월25일까지 118일이다. 그러나 금세기말에 이르면 제주지역의 여름일수는 211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1년 365일 가운데 60% 여름인 것이고, 현재 여름일수 129일보다 82일이 길어진다. 강원도 역시 여름일수가 81일에서 163일로 늘어난다. 여름은 '일평균기온이 20도 이상으로 오른 뒤 다시 떨어지지 않았을 때 그 첫날'에 시작한 것으로 본다.

여름이 길어지면서 폭염과 열대야가 극성을 부린다. 열대야일은 2.2~22.5일에서 55.2~103.3일로 11.4~84.8일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는 금세기말에 폭염일이 120.1일로 늘어나고 제주는 열대야일이 103.3일로 늘어난다. 연중 3분의 1이 폭염과 열대야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폭염일은 '일최저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이고 열대야일은 '밤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이다.

강수량은 1278.0~2137.3㎜로 늘어난다. 현재 평균 강수량은 1193.1~1758.5㎜이다. 1일 최대강수량도 144.8~253.9㎜로 현재의  110.3~159.5㎜보다 많아진다.

'온실가스를 감축해 2070년께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경우'(SSp1-2.6·저탄소시나리오)에도 기온이 상승해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진다는 전망에는 변함이 없었다. 다만 연강수량은 줄어드는 지역도 있었다.

이 보고서는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