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오염 원인이 아시아?...'쓰레기 식민주의' 보고서 철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9-16 16:05:07
  • -
  • +
  • 인쇄

한 환경단체에서 해양플라스틱 오염의 책임을 아시아국가로 돌린 '쓰레기 식민주의(waste colonialism)' 보고서를 철회했다.

2015년 미국 비영리 환경단체 오션컨저번시(Ocean Conservancy)가 발표한 'Stemming Tide' 보고서는 전세계 플라스틱 오염 대부분의 책임이 필리핀,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5개국에 있다고 발표하면서 아시아 전역의 사회·환경단체로부터 '폐기물 식민주의'라고 비난받았다.

환경단체들은 해당 보고서가 무역을 가장해 개발도상국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출하는 북반구 국가들의 역할을 무시하고 플라스틱 쓰레기를 태우는 것이 해결책인양 오도해 아시아 국가 등에 수년간 피해를 입혔다고 비판했다. 90개국 환경단체연합 가이아(Gaia)는 오션컨저번시가 기후와 공중보건 측면에서 실제 소각비용을 과소평가했다고 지적했다.

결국 지난 14일(현지시간) 오션컨저번시는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책임을 부당하게 전가한 행위를 공개적으로 사과하고 보고서를 웹사이트에서 삭제했다. 해당 단체는 플라스틱오염 문제의 해결책 모색에 있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사회의 기여를 살펴보지 않은 실수를 인정하고 현재 아시아의 단체들과 협력해 '회복적 정의'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롤란 그레이트(Froilan Grate) 가이아 아시아태평양조정관은 "이번 보고서 철회는 수십 년간 이어져온 쓰레기 식민주의를 중단할 기회"라고 평가했다.

크리스티 케이스(Christie Keith) 가이아 국제조정관은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책임은 보고서에 언급된 아시아 5개국이 아닌 플라스틱을 만들어내는 기업들에게 있다고 일침했다. 무엇보다 제로웨이스트 솔루션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은 공격이 아닌 존경과 축하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오션컨저번시 측은 웹사이트를 통해 "세계의 특정 지역(동남아시아)에 편협하게 초점을 맞춰 해양플라스틱 오염 책임을 전가하고 선진국, 특히 미국이 플라스틱을 생산하고 수출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사과했다. 단체는 "소각을 플라스틱 오염의 해결책으로 다룬 것은 잘못됐다"고 하며 "이러한 기술이 플라스틱 수요를 지속시키고 순환경제 및 탄소제로를 어떻게 방해하는지 고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Stemming Tide'는 2015년 2월 사이언스지(Science)에 발표된 논문으로, 최초로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192개 연안국의 순위를 매겼다.

보고서는 세계자연기금(World Wildlife Fund), 코카콜라(Coca-Cola), 다우케미칼(Dow Chemical), 미국화학협회(American Chemistry Council)를 포함한 운영그룹과 함께 미국 컨설팅기업 맥킨지(McKinsey)가 작성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