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오염 원인이 아시아?...'쓰레기 식민주의' 보고서 철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9-16 16:05:07
  • -
  • +
  • 인쇄

한 환경단체에서 해양플라스틱 오염의 책임을 아시아국가로 돌린 '쓰레기 식민주의(waste colonialism)' 보고서를 철회했다.

2015년 미국 비영리 환경단체 오션컨저번시(Ocean Conservancy)가 발표한 'Stemming Tide' 보고서는 전세계 플라스틱 오염 대부분의 책임이 필리핀,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5개국에 있다고 발표하면서 아시아 전역의 사회·환경단체로부터 '폐기물 식민주의'라고 비난받았다.

환경단체들은 해당 보고서가 무역을 가장해 개발도상국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출하는 북반구 국가들의 역할을 무시하고 플라스틱 쓰레기를 태우는 것이 해결책인양 오도해 아시아 국가 등에 수년간 피해를 입혔다고 비판했다. 90개국 환경단체연합 가이아(Gaia)는 오션컨저번시가 기후와 공중보건 측면에서 실제 소각비용을 과소평가했다고 지적했다.

결국 지난 14일(현지시간) 오션컨저번시는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책임을 부당하게 전가한 행위를 공개적으로 사과하고 보고서를 웹사이트에서 삭제했다. 해당 단체는 플라스틱오염 문제의 해결책 모색에 있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사회의 기여를 살펴보지 않은 실수를 인정하고 현재 아시아의 단체들과 협력해 '회복적 정의'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롤란 그레이트(Froilan Grate) 가이아 아시아태평양조정관은 "이번 보고서 철회는 수십 년간 이어져온 쓰레기 식민주의를 중단할 기회"라고 평가했다.

크리스티 케이스(Christie Keith) 가이아 국제조정관은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책임은 보고서에 언급된 아시아 5개국이 아닌 플라스틱을 만들어내는 기업들에게 있다고 일침했다. 무엇보다 제로웨이스트 솔루션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은 공격이 아닌 존경과 축하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오션컨저번시 측은 웹사이트를 통해 "세계의 특정 지역(동남아시아)에 편협하게 초점을 맞춰 해양플라스틱 오염 책임을 전가하고 선진국, 특히 미국이 플라스틱을 생산하고 수출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사과했다. 단체는 "소각을 플라스틱 오염의 해결책으로 다룬 것은 잘못됐다"고 하며 "이러한 기술이 플라스틱 수요를 지속시키고 순환경제 및 탄소제로를 어떻게 방해하는지 고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Stemming Tide'는 2015년 2월 사이언스지(Science)에 발표된 논문으로, 최초로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192개 연안국의 순위를 매겼다.

보고서는 세계자연기금(World Wildlife Fund), 코카콜라(Coca-Cola), 다우케미칼(Dow Chemical), 미국화학협회(American Chemistry Council)를 포함한 운영그룹과 함께 미국 컨설팅기업 맥킨지(McKinsey)가 작성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카카오 '장시간 노동' 의혹...노동부, 근로감독 착수

카카오가 최근 불거진 장시간 노동 문제를 두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을 받게 됐다.고용노동부 관할지청인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은 이달초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기후/환경

+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예정대로 내년부터 시행

내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땅에 매립하지 못한다. 17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부 및 수

미세플라스틱 '만성변비' 유발한다…장 건강 영향 첫 규명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흡입하면 변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황대연 교수 연구팀은 캐나다 토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