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해수면 상승 더 빨라지고 있다..."2040년 11cm 높아져"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9-01 11:15:06
  • -
  • +
  • 인쇄
기상청, IPCC 기후시나리오 토대로 분석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 염도도 떨어져
▲8월 30일 오후 강원도 양양 바다 ⓒnewstree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이 2030년에 이르면 최대 11cm까지 상승하고 해수면 온도는 1.2°C까지 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서 사용된 신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토대로 한반도 주변해역의 미래 전망에 대해 이같은 분석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국립해양조사원이 앞으로 30년간 우리나라 해수면이 9.1cm 상승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보다 더 높은 상승수위다. 당시 국립해양조사원은 우리나라 해수면이 매년 평균 3.03cm씩 높아져 9cm 가량 올라갈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7대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1991년부터 2020년까지 21개 조위관측소가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승률을 계산한 것이다.

그러나 이번에 기상청이 분석한 결과는 2021~2040년까지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수면이 10~11cm 높아진다. 해수면 온도 역시 1.0~1.2℃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또 2081년~2100년까지 IPCC의 저탄소 시나리오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해수면이 28cm 상승하고 해수면 온도는 1.8℃까지 높아진다. IPCC의 고탄소 시나리오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해수면이 무려 66cm 높아지고 온도는 4.5℃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같은 결과는 탄소감축을 하느냐 하지 못하느냐에 따라 판이하게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상청은 "고탄소 시나리오와 저탄소 시나리오의 해수면 상승폭 차이는 약 2.5배 정도로 달라진다"면서 "해수면 온도 4.5 ℃ 상승은 전 지구 평균 해수면 온도 3.7℃ 상승보다 0.8℃가 높은 결과"라고 밝혔다.

해수면이 올라가면 바닷물 염도는 낮아진다. 가까운 미래에 한반도 주변해역 표층 염분과 해류는 약 0.05psu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먼 미래의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0.18psu 감소,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0.48psu 감소할 전망이다. psu는 해수 1kg 안에 용해돼 있는 염류의 총량을 천분율(1/1000)로 나타낸 것이다. 해수면 온도는 서해, 동해·남해, 동중국해 순서로 상승할 전망이다. 표층염분 감소는 서해, 동중국해, 동해·남해 순서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해수면 상승이 갈수록 가파르게 올라가는 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곳곳의 빙하와 만년설 녹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덴마크·그린란드국립지질조사국(GEUS) 연구팀은 지난 29일 지구온난화로 그린란드의 얼음 24만6400톤이 녹으면서 그린란드에서만 해수면이 최소 27cm, 최악의 경우 78cm까지 상승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그린란드뿐만 아니라 히말라야와 알프스산맥의 만년설도 이미 절반가량 소실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구 양끝단인 남극과 북극의 상황도 심각하다. 올들어 남극의 일부 지역은 평년보다 40℃ 높은 기온을 기록했고, 북극도 평년보다 30℃ 높았다. 이처럼 극지방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해빙의 녹는 속도는 엄청나게 빨라지고 있다. 덴마크·그린란드국립지질조사국(GEUS) 연구팀의 윌리엄 콜건 박사는 "남극 동부 빙상이 모두 녹으면 해수면이 52m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 2월 발표된 'IPCC 제6차 평가보고서(AR6) 제2실무그룹 보고서(WG2)'에서도 이대로 가면 향후 20년 내 기온상승 폭이 파리기후변화협정이 설정한 인류생존의 마지노선 '1.5°C'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면서, 북극의 빙상과 해빙이 완전히 녹아버린다면 생태계가 복구불가능한 임계점을 넘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빙하가 녹는 속도는 1950년과 2000년 사이 1.5~2배 빨라져 해수면 높이가 작년에 견줘 0.15m만 높아져도 인구의 20%가 100년에 한 번 발생할 규모의 연안 홍수(coastal flood)에 잠재적으로 노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기후/환경

+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

불볕더위 '아차'하면 온열질환에 쓰러져...폭염 안전수칙은?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 혹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폭염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

EU·중국 '기후리더십' 주도권 노리나?…'기후협력' 공동성명 채택

미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기술을 공동보급하기로 하는 등 협력관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있다.24일(

산불 1년만에 한달 두차례 홍수...美 뉴멕시코주 마을의 수난

미국 뉴멕시코주 루이도소 마을이 또 물에 잠겼다. 이달에만 벌써 두번째 홍수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루이도소 일

폭염에 차량 방치하면 실내온도 90℃까지...화재·폭발 막으려면?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으면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염시 차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