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기업, 더이상 환경 망치지마"…기후소송 급증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7-01 14:36:47
  • -
  • +
  • 인쇄
전세계 기후소송건수 2015년 이후 2배 증가
전체 소송 중 1/4은 최근 2년 동안 접수돼
▲호주에서 열린 '기후변화 대응' 촉구 시위.(사진=연합뉴스)

화석연료산업을 대상으로 한 기후소송이 급증했다.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경제대학 그랜텀연구소는 최근 1년간 특히 미국 외 지역에서 화석연료산업을 대상으로 한 법적소송이 급증했다고 보고했다.

보고에 따르면 전세계 기후변화 관련 소송 건수는 2015년 이후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전체 2002건의 소송 중 약 4분의 1은 최근 2년간 접수됐다. 소송의 대부분은 그린워싱 및 환경문제에 대한 무대응이 이유였다.

특히 최근에는 화석연료산업에 소송이 집중되고 있으며 식품 및 농업, 운송업, 플라스틱, 금융 분야도 표적이 되고 있다. 유럽에 기반을 둔 가장 큰 오염원에 대해 최소 13건의 소송이, 호주 가스기업 산토스(Santos)를 상대로 최소 2건의 소송이 제기됐다. 미국 석유기업 엑손(Exxon), 이탈리아 에너지기업 에니(Eni), 남아프리카공화국 석유화학기업 사솔(Sasol) 역시 가이아나 및 남아공의 석유가스 탐사·인허가를 두고 소송에 직면해 있다. 우리나라도 3월 한국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가 호주 가스개발계획과 관련해 현지 원주민 단체로부터 제소됐다.

아직까지 기후소송이 승소한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전세계적으로 기후행동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입증됐다. 법적소송은 국가정부가 배출전략을 세우도록 압력을 행사할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에도 가시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은 기후소송이 기후정책을 촉구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보고서 저자인 조아나 세처(Joana Setzer) 그랜텀연구소 조교수와 캐서린 하이암(Catherine Higham) 정책분석가이자 세계기후변화법(Climate Change Laws of the World) 프로젝트 조정자는 "온실가스 등 환경유해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을 상대로 한 소송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며 "철강과 시멘트, 섬유, 해운, 항공업계 등도 그 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기업들이 개인적 책임(기후위험을 관리하는 회사 이사의 의무 등), 그리고 손실 및 피해에 대한 국제소송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낙뢰로 인한 산불 증가"...기후위기의 연쇄작용 경고

기후위기가 낙뢰로 인한 산불을 더욱 빈번하게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시에라 네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