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에서 석유뽑는 '도시유전 기업' 선언
플라스틱 순환경제 사업모델 제시 "성장성 높다"
국내 최초 석유화학 기업인 SK종합화학이 회사명을 지구중심이라는 뜻이 담긴 'SK지오센트릭'(SK geo centric)으로 바꾸고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기반으로 한 '도시유전 기업'으로 거듭난다.
SK지오센트릭은 31일 나경수 사장 등 주요 경영진들이 참석한 가운데 언론 대상 '브랜드 뉴 데이'를 갖고 새로운 사명과 도시유전 기업으로의 성장방안을 밝혔다. 나 사장은 "SK지오센트릭의 파이낸셜 스토리 핵심 방향은 "지구를 중심에 둔 친환경 혁신"이라며 "석유로부터 만들어진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다시 석유를 뽑아내는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SK지오센트릭의 사업의 1차 목표는 플라스틱 재활용이다. 이를 위해 우선 폐플라스틱 처리설비를 갖추고, 나아가 친환경 소재를 확대하는 사업에 2025년까지 총 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2027년까지는 SK지오센트릭의 글로벌 플라스틱 생산량 100%에 해당하는 250만톤/년을 직·간접적으로 재활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는 해마다 전세계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폐플라스틱의 약 2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 왜? - 의무나 책임이 아닌 미래핵심 포트폴리오
SK지오센트릭이 변신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서원규 SK지오센트릭 전략본부장은 "화학제품으로 인해 발생한 환경문제는 화학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해결하는 것이 맞다"며 플라스틱 재활용 비즈니스 추진 이유를 설명했다.
나 사장 역시 "폐플라스틱 이슈는 이를 가장 잘 아는 화학기업이 해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따라서 순환경제형 사업모델은 SK지오센트릭의 파이낸셜 스토리에 가장 부합하는 방향이자 새로운 성장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시대적 흐름도 변화에 한몫했다. 주로 해외 기업고객들로부터 고품질의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요구를 많이 받은 것이다. 나 사장은 "이 비즈니스를 시작한 것도 글로벌 고객사들의 요청이 많았기 때문"이라며 "우리 공장들의 완공 시점은 주로 2024년인데, 3년 후 어떤 세상이 돼 있을까를 생각해야 하고 그에 대한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더 많은 수요가 생길 것이고, 그에 맞는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시장은? - 성장성 높아…4년후 기존 사업 넘을 것
SK지오센트릭의 이같은 변신은 단순히 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기업의 의무와 책임이 아니라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포트폴리오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관련 시장은 앞으로 급속도로 커질 것이고, 이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에서 비롯됐다.
나 사장은 "2030년까지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 성장률은 12% 수준이며, 2050년 600조원 규모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이 만들어진다는 점은 그 성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2025년에는 친환경 및 재활용 영역에서 기존 비즈니스를 상회하는 6000억원의 에비타(EBITDA, 상각전영업이익)를 창출해 재무적으로도 완벽하게 그린컴퍼니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동훈 SK지오센트릭 그린비즈추진그룹장도 다른 기업들과의 차별점에 대해 "2027년까지 우리가 생산하는 플라스틱 물량과 맞먹는 규모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생산하게 된다"며 "이는 우리가 리사이클 사업을 책임과 의무의 일환이 아닌 차세대 핵심 포트폴리오로 삼고 있다는 의미로, 이렇게 접근하면 전략과 투자가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국내 고품질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에 대해서는 아직 수요와 공급 모두 미미한 수준이지만 점차 바뀌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강 그룹장은 "국내 고품질 리사이클 시장을 보면 공급측면에서 아직 생산이 안되고 있다"며 "수요측면에서는 최종 소비자들의 니즈는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포장재를 사용하는 브랜드 오너들의 수요는 증가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참고로 관련 시장이 상대적으로 큰 유럽의 경우를 보면 각 국가들의 규제 그리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브랜드 오너들이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비율을 높이겠다고 선언하면서 시장이 커졌다. 강 그룹장은 한국도 곧 이렇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환경부도 재활용 비율 규제 등을 검토중이고, 만약 의무화되면 시장은 급격하게 형성될 것"이라며 "공급 역시 우리와 같은 기업들이 점점 더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어떻게? - 기술개발·사업협력·합작법인
'도시유전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SK지오센트릭은 △차세대 재활용 기술 확보 △재활용 클러스터 구축 △3R 솔루션 개발 △친환경 소재 확대 및 친환경 원료 도입 등 플라스틱 생산부터 분리수거 후 재활용까지 플라스틱 순환경제 체제를 갖추기로 했다.
우선 차세대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외 파트너들과 사업협력을 추진중이며 열분해 후처리 기술은 자체 개발하고 있다. 특히 오염된 단일재질과 복합재질 플라스틱까지 재활용이 가능한 용매 추출, 해중합 및 열분해 등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보유한 해외 파트너들과 기술 도입, 합작법인 설립, 지분투자 등 협업을 기반으로 국내외에 공장을 신·증설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SK지오센트릭은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Reduce) △친환경 소재로 대체(Replace) △재활용을 용이하게(Recycle) 하는 3R 솔루션(3R Solution)을 통해 고객의 친환경 니즈를 충족시키는 한편, 친환경 소재 및 원료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들 친환경 소재는 자동차 소재의 경우 경량화를 통해 차량 연비 개선 및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이 가능하며, 패키징 소재의 경우 성능은 유지하면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SK지오센트릭은 친환경 소재들의 생산능력을 50만톤/년 수준에서 2025년 190만톤/년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바이오 유분과 열분해유를 원료로 적극 도입해 석유로부터 나온 플라스틱 양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
◇ 난관은? - 원료수집 어려워…수거에 역량집중
나 사장은 "이 사업을 하면서 가장 고민되는 것이 쓰레기를 모으는 것"이라며 "다들 가정에서 분리수거는 굉장히 잘 하고 있지만, 그 플라스틱들이 다시 모아지고 다시 오염이 되고 하다보니 재활용을 위한 원료로 쓰는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의 분리수거는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잘 되는 수준이지만,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10~15%에 그칠 정도로 미미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K는 분리수거 현대화에 그룹의 역량을 쏟을 계획이다. 현재 대다수 수거업체들은 영세하다. 때문에 디지털 기술 도입 등은 꿈도 꾸기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SK가 나서는 것이다. 수거업체들에게 인공지능(AI) 등 기술을 지원해 현대화·디지털화하는 것이다. 또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해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는 공공선별장의 대형화·현대화 등에도 나설 방침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