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박테리아와 곰팡이들이 공존하며 서식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을 갉아먹고 사는 박테리아가 해양플라스틱 쓰레기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1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은 해양 플라스틱에 적응해 살아가는 미생물집단 '플라스틱스피어'(plastisphere)라고 불리는 곳에서 플라스틱을 먹는 사는 박테리아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플라스틱스피어'는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포함한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생태계를 지칭하는 말이다. 현재는 이 의미가 확장돼 게나 해파리 등 해양 플라스틱에 서식하는 생물체들을 모두 아우르는 뜻이다.
이 용어는 네덜란드 왕립해양연구소의 해양미생물학자 린다 아마랄-제틀러가 2013년 처음 사용했다. 제틀러는 "2010년 플라스틱에 서식하는 유기체 연구를 목적으로 플라스틱 샘플을 채취할 계획이었는데, 이를 묘사할 적당한 단어를 생각하다가 '플라스틱스피어'를 떠올리게 됐다"고 밝혔다.
버려지는 플라스틱병의 3분의1은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바다로 흘러들어간 플라스틱들이 쌓여 만들어진 것이 바로 우리가 모두 아는 태평양의 쓰레기섬이다. 이 쓰레기섬의 규모는 프랑스 면적의 약 2배에 이른다.
이런 쓰레기섬에서 플라스틱에 의존해 다양한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단순한 쓰레기더미를 넘어, 플라스틱을 중심으로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제틀러 박사에 따르면 플라스틱스피어에는 다른 생태계처럼 광합성하는 유기체, 포식자와 피식자 등이 모두 존재하며, 공생과 기생의 상호작용도 이뤄지고 있다.
다만 플라스틱스피어가 다른 생태계와 다른 점이 있다면 인간이 만들어냈다는 점이다. 또 자연 생태계와 달리, 플라스틱 무더기에서 비롯됐기 때문에 내구성과 지속성이 뛰어나 서식하는 유기체가 훨씬 빨리 성장하고 확산될 수 있다.
현재 플라스틱스피어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갈래로 진행되고 있다. 하나는 플라스틱스피어의 잠재적 병원균에 대한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일부 미생물이 탄화수소를 생분해할 가능성에 대한 연구다.
제틀러 박사도 2013년 플라스틱 무더미에서 비브리오균을 발견하기도 했다. 얼마전에는 페트병을 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도 발견됐다. 이른바 플라스틱을 먹는 박테리아다. 티오클라바sp. BHET1과 바실루스sp. BHET2로 알려진 이 박테리아들은 현재 실험실로 옮겨진 상태다. 플라스틱스피어에서 자라는 새로운 유기체의 발견이었다.
그렇다면 이 박테리아들이 쓰레기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제틀러 박사는 "일부 미생물은 플라스틱을 먹이로 삼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이는 연구실에서 박테리아에게 탄소만 공급해 실험한 결과일뿐 실제 자연환경과 다를 수 있다"며, 가능성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