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 한국 개최국 맞나?...'생산감축' 이니셔티브에 불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1-30 16:22:17
  • -
  • +
  • 인쇄

 

▲30일 부산 벡스코에서 기자회견을 진행중인 그린피스 캠페이너들. 왼쪽부터 그레이엄 포브스 글로벌 플라스틱 캠페인 리더, 김나라 플라스틱 캠페이너, 안젤리카 파고 미디어 책임 ⓒnewstree 

'국제 플라스틱 협약'이 예정된 기한을 하루 남겨두고 있는 가운데 행사 개최국인 한국에 대한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협상의 핵심쟁점인 '생산감축' 논의에 한국 대표단이 불참하는 등 지나치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30일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협상회의(INC-5)에 참관인으로 참여중인 김나라 그린피스 플라스틱 캠페이너는 "한국이 개최국이 맞나 싶을 정도로 아무런 의견제시가 없다"며 "플라스틱 협상중 도출된 각종 이니셔티브에도 가입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INC-5에서 협상을 타결시키려면 의장은 물론 회의 개최국인 한국의 외교력도 필요한만큼 한국 정부는 성공적인 협약의 성안을 위해 마지막까지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대표단의 수석대표인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현장에 아예 참석하지도 않았다.

지난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플라스틱 생산량을 감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힌 바 있지만 우리 대표단은 원론적인 입장 외에 별다른 의견을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김나라 캠페이너는 "김 장관이 수차례 생산감축을 강조하긴 했지만, 우리 정부가 행동으로 이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우리 정부는 강력한 협약을 지지하는 '우호국연합'(HAC) 소속이 맞나 싶을 정도로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26일 파나마와 태평양도서국을 필두로 유럽연합(EU), 아프리카 102개국이 플라스틱 생산규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 선언서를 발표했지만, 한국은 이 명단에서 빠져있다.

또 우리 정부의 미흡한 행사 준비로 전세계 각국에서 참석한 옵저버들은 회의장에 들어가지도 못했다.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오염종식을 논의하는 회의장 앞 카페테리아에 일회용 식기를 제공하는 무성의함에 옵저버들은 '최악의 INC'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국제시민사회가 선정하는 '오늘의 빌런'에 대한민국이 선정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우리 정부는 지난 INC-4에서 플라스틱 오염 피해국들과 HAC를 중심으로 40여개국이 플라스틱 생산감축을 촉구한 선언문 '부산으로 가는 다리'에도 서명하지 않고 있다. 

그린피스는 "INC-5를 개최한 한국의 플라스틱 생산능력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일본과 대만을 합친 것과 동일한 수준"이라며 "한국의 석유화학산업은 플라스틱 오염과 기후위기를 가중시키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할 것을 촉구했다.
<부산=이재은 기자>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피자도 받고 소외청소년에 기부도...22일 '업비트 피자데이'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오는 22일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맞아 '2025 업비트 피자데이'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비트코인 피자데이'는

현대百, 크리스마스 트리로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조성

현대백화점이 지난해 크리스마스 트리 연출에 사용됐던 전나무를 활용해 도심숲 조성에 나선다.현대백화점은 오는 22일 서울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더

경기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 90% 지원

경기도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내 민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텀블러세척기 구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

[손기원의 ESG인사이드] ESG경영 이끄는 세가지 축

지난 5년간 ESG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기업 경영의 구조적 전환을 유도해왔다. 그 흐름을 이끈 세 가지 동인(driver)은 기술, 공시, 금융이다. 이 중 기술과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기후/환경

+

10년간 한반도 서식 확인 생물 35% 증가…유입주의 생물은 15배 늘어

한반도에 서식하는 생물이 지난 10년간 35%, 습지보호지역에선 5배 가량 늘어났다.국립생물자원관은 유엔(UN)이 정한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22일)을 하

"2030년 전세계 청소년 5억명 비만이나 과체중"...원인은?

2030년에 이르면 전세계 청소년 가운데 5억명이 비만이거나 과체중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국제학술지 랜싯(The Lancet) 청소년 건강 및 복

임신중 대기오염 노출되면...자녀 천식 위험 증가

임신중에 대기오염에 노출되면 태어나는 자녀가 천식에 걸릴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호주 시드니공대 라지아 카자리야 박사팀은 생쥐를 대

석탄 태워놓고 청정에너지?...수소입찰제도 '헌법소원' 청구

'청정수소발전 의무화제도'(CHPS)가 국민 환경권과 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사유로 헌법소원이 제기됐다.기후·환경 시민단체들이 21일 오전 11시 헌법

"지구기온 1.5℃ 억제해도 해수면 상승 못막는다"

파리기후변화협약 목표인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대비 1.5℃ 이내로 억제한다고 해도 해수면 상승을 막을 수 없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새 정부에 바란다] "탄소배출권 거래가격 정상화 시급하다"

"정부가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려면 현재 느슨하게 운영되는 배출권거래제를 정상화시켜야 한다."권경락 플랜1.5 정책활동가는 새 정부가 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