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 한국 개최국 맞나?...'생산감축' 이니셔티브에 불참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11-30 16:22:17
  • -
  • +
  • 인쇄

 

▲30일 부산 벡스코에서 기자회견을 진행중인 그린피스 캠페이너들. 왼쪽부터 그레이엄 포브스 글로벌 플라스틱 캠페인 리더, 김나라 플라스틱 캠페이너, 안젤리카 파고 미디어 책임 ⓒnewstree 

'국제 플라스틱 협약'이 예정된 기한을 하루 남겨두고 있는 가운데 행사 개최국인 한국에 대한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협상의 핵심쟁점인 '생산감축' 논의에 한국 대표단이 불참하는 등 지나치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30일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협상회의(INC-5)에 참관인으로 참여중인 김나라 그린피스 플라스틱 캠페이너는 "한국이 개최국이 맞나 싶을 정도로 아무런 의견제시가 없다"며 "플라스틱 협상중 도출된 각종 이니셔티브에도 가입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INC-5에서 협상을 타결시키려면 의장은 물론 회의 개최국인 한국의 외교력도 필요한만큼 한국 정부는 성공적인 협약의 성안을 위해 마지막까지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대표단의 수석대표인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현장에 아예 참석하지도 않았다.

지난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플라스틱 생산량을 감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힌 바 있지만 우리 대표단은 원론적인 입장 외에 별다른 의견을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김나라 캠페이너는 "김 장관이 수차례 생산감축을 강조하긴 했지만, 우리 정부가 행동으로 이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우리 정부는 강력한 협약을 지지하는 '우호국연합'(HAC) 소속이 맞나 싶을 정도로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26일 파나마와 태평양도서국을 필두로 유럽연합(EU), 아프리카 102개국이 플라스틱 생산규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 선언서를 발표했지만, 한국은 이 명단에서 빠져있다.

또 우리 정부의 미흡한 행사 준비로 전세계 각국에서 참석한 옵저버들은 회의장에 들어가지도 못했다.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오염종식을 논의하는 회의장 앞 카페테리아에 일회용 식기를 제공하는 무성의함에 옵저버들은 '최악의 INC'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국제시민사회가 선정하는 '오늘의 빌런'에 대한민국이 선정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우리 정부는 지난 INC-4에서 플라스틱 오염 피해국들과 HAC를 중심으로 40여개국이 플라스틱 생산감축을 촉구한 선언문 '부산으로 가는 다리'에도 서명하지 않고 있다. 

그린피스는 "INC-5를 개최한 한국의 플라스틱 생산능력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일본과 대만을 합친 것과 동일한 수준"이라며 "한국의 석유화학산업은 플라스틱 오염과 기후위기를 가중시키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할 것을 촉구했다.
<부산=이재은 기자>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아, 전기 PBV 'PV5' 택배차량으로 본격 공급한다

내연기관 중심의 택배 차량들이 친환경 전기차량으로 전환된다. 기아는 자사의 친환경 전동화 모델인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

[알림] 11월 6일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 개최합니다

오는 11월 6일 국내외 녹색금융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보는 '제5회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이 서울 강남구 웨스틴

셀트리온 임직원들, 조류충돌방지 스티커 부착 활동

셀트리온이 인천녹색연합과 함께 야생조류 보호를 위한 ESG 활동을 펼쳤다.셀트리온은 지난 25일 인천 영종도 일대에서 지역 시민단체인 인천녹색연합

기후/환경

+

기후변화로 해양자본 갈수록 훼손...WEF "해양경제 붕괴 막아야"

세계경제포럼(WEF)이 기후변화와 오염으로 해양경제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경고했다.27일(현지시간) WEF가 공개한 보고서 '해양경제가 지속가능한

[날씨] 첫서리·첫얼음에 가을이 '꽁꽁'...추위 언제 풀리나?

갑자기 추위가 몰려오면서 첫서리가 내리고 얼음까지 얼었다. 가을에 찾아온 때이른 추위는 오는 29일 낮에 물러날 전망이다.28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

밤하늘 곤충이 사라진다…레이더가 포착한 생태계 이상신호

밤하늘을 날던 곤충들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국립기상청(Met Office)과 국가대기과학센터(NCAS) 연구진은 2014년~2021년까지 영

“기후대응이 수익구조로 변질”…브라질 연구진 '기후상품화' 비판

브라질 연구진이 기후대응이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이윤 중심으로 흐르고 있다며 경각심을 촉구했다.27일(현지시간) 브라질의 환경정책 연구기관 클

바다 떠다니는 플라스틱…가라앉으려면 '100년 이상' 걸린다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저로 완전히 가라앉는데 최소 100년 이상 걸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런던퀸메리대학교 지리·

탄소배출권 수익으로 생태복원...호주에서 생태경제 모델 시험

호주가 탄소배출권 수익을 활용해 생태계 복원에 나서는 새로운 모델을 선보였다.27일(현지시간) 호주 비영리단체 부시 헤리티지 오스트레일리아(Bush H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