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플라스틱 협약'이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 현장에서 만난 그린피스일본 참관인은 현재 협상이 지지부진하게 진행되는 것에 대해 "좋든 싫든 일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협약을 강력하게 마련해 석유화학업계가 전환할 수 있는 모멘텀을 만드는 것이 오히려 유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린피스일본에서 11년째 활동하고 있는 히로타카 코이케씨는 이번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협상회의(INC-5)에 일본측 옵저버(참관인)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는 정치협상 및 정책추진 전문가로, INC를 비롯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도 수차례 참여한 바 있다.
이번 5차 회의가 마지막 협상자리인만큼 각국 대표단들은 최종성안에 '플라스틱 생산규제' 포함여부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플라스틱 오염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파나마, 피지 등의 태평양 연안국가들은 플라스틱 생산감축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석유화학 산업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들이나 산유국들은 이를 반대하는 입장이다.
일본 정부의 입장에 대해 코이케씨는 "정부는 석유화학업계가 입을 피해를 고려해 국제적으로 감축목표를 수립하는 것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입장은 아니지만 앞으로 석유화학업계가 실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려면 강력한 협약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석유화학업계의 점유율은 계속 줄어들고 있고, 생산설비들도 좌초자산이 될 것"이라며 "협약내용이 강력해지면 일본 정부는 석유화학업계의 전환을 지원할 수 있는 명분이 생긴다"고 말했다. 강력한 규제가 오히려 석유화학업계의 전환을 앞당겨 수익성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일본 내에서는 이미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일본 카네카는 100% 식물성 소재로 만든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미국과 유럽으로 판로를 확장하고 있지만 정작 일본에서는 수요가 많지 않아 채산성이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플라스틱 생산이 규제되면 일본에서도 빠르게 전환이 일어나 카네카 제품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미 일본에서 석유화학업종은 하락세로 접어들어 빠르게 시장규모가 줄어드는 상황"이라며 "추가적으로 감축목표가 정해진다고 해도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최근 일본산 에틸렌 가격은 수입원료의 비용상승으로 미국산보다 가격이 2배 비싸, 일본 제조사들은 일본산 대신 수입산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만큼 자국산 화학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코이케씨는 "일본 석유화학업계도 바이오나 생분해 플라스틱 등 대체원료에 투자하고 있지만 강력한 규제가 없으면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면서 "그래야 시장에 명확한 신호가 보내져 전환이 더 빠르게 앞당겨질 것"이라고 했다. 또 그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석유화학업계는 사업을 접을 것인지, 전환의 발판을 마련할 것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부산=이재은 기자>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