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이틀새 초강력 허리케인으로 발달..."원인은 해양폭염"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1-06 11:24:44
  • -
  • +
  • 인쇄
▲미국 플로리다를 강타한 허리케인 '밀턴'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불과 한달전 미국 플로리다주는 100년에 한번 닥칠법한 역대급 슈퍼 허리케인이 2주 간격으로 강타하면서 쑥대밭이 됐는데 그 원인이 바로 '해양폭염'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앨리배마대학 수문학과 소헤일 라드파 교수연구팀은 멕시코만과 카리브해 북서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해양폭염으로 인해 '헐린'과 같은 초대형 허리케인이 발생할 확률이 50% 증가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헐린'은 지난 9월 24일 멕시코만에서 열대성 저기압으로 발생했다. 그런데 바닷물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 있는 걸프만 해역을 거치면서 이 열대성 저기압은 발생 이틀만인 9월 26일 4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허리케인은 5등급으로 구분되는데 숫자가 높을수록 세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헐린'의 최대풍속은 시속 225㎞에 달했다. 나무와 전봇대가 뿌리채 뽑히고, 주택도 날아갔다. 산사태와 해일로 많은 인명피해도 발생했고, 피해액은 무려 34조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 '헐린'이 플로리다주를 강타한지 2주만에 또다시 초강력 허리케인 '밀턴'이 닥쳤다. '밀턴' 역시 열대성 저기압으로 발생한지 하루만에 5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했다. '밀턴'은 상륙 당시 3등급으로 세력이 약화되긴 했지만 시속 195㎞에 달하는 강풍과 450㎜가 넘는 폭우 그리고 38건이 넘는 토네이도까지 일으키며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입혔다. 

이처럼 열대성 저기압이 단시간 안에 초강력 허리케인으로 발달할 수 있었던 것은 해양폭염이 지속되는 시간이 길어진데 따른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해양폭염은 특정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5일 이상 연속으로 특정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로 규정된다. 이 임계값은 계절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평균 해양 수온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연구팀은 1950년~2022년 사이 멕시코만과 카리브해 북서부 지역에서 발생한 해양폭염 738건과 열대성 저기압의 이동패턴을 분석했다. 이 연구에는 유럽 중거리기상예보센터의 데이터세트가 사용됐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허리케인 발생 시점으로부터 10일 이내, 반경 200km 내에 발생한 폭염을 식별한 결과, 열대성 저기압의 약 70%는 적어도 한 번 이상의 해양폭염을 겪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데이터에 따르면 카리브해 북서부 케이먼 분지 근처, 캄페체만, 멕시코만의 유카탄 해협 근처 3곳에서는 해양폭염이 허리케인을 강화할 가능성이 최대 5배까지 증가했다. 해당 지역에서는 해양폭염 기간이 연간 36.5일에서 49.5일로 늘었다.

해양폭염은 해양생물에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열대성 저기압을 허리케인으로 키우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대기 중 수분의 가용성으로 인한 것이라고 라드파 교수는 설명했다. 해양폭염이 발생하면 해수면 온도가 정상보다 높아져 물 증발을 촉진시키고 이것이 열대성 폭풍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렇게 발달한 허리케인은 강도를 예측하기 어려워 육지에 상륙했을 때 어느 정도 피해를 입힐지 가늠할 수 없다는 것이다. 라드파 교수는 "지구온난화로 해양폭염이 허리케인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국제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orld Weather Attribution)도 허리케인 발생 가능성이 산업화 이전 대비 약 2.5배 더 높아졌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팀은 '헐린'의 위력이 강해진 데에는 걸프만의 폭염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러쉬 '후탄' 배쓰 밤 출시...수익금 75% 멸종위기종 보호에 기부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코리아가 5월 22일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아 멸종위기 핵심종 보호메시지를 담은 '후탄(Hutan)' 배쓰 밤을 선보였다

카카오, 합병 11년만에 다음 분사...'다음준비신설법인' 설립

카카오가 다음을 합병한지 11년만에 독립법인으로 분사한다.카카오는 22일 오전 이사회를 통해 포털 다음(Daum)을 담당하는 콘텐츠CIC를 '다음준비신설법

국립환경과학원·SK하이닉스 '반도체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에 '맞손'

반도체 생산에서 폐기까지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국립환경과학원과 SK하이닉스가 협력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2일 경기 이천

피자도 받고 소외청소년에 기부도...22일 '업비트 피자데이'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오는 22일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맞아 '2025 업비트 피자데이'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비트코인 피자데이'는

현대百, 크리스마스 트리로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조성

현대백화점이 지난해 크리스마스 트리 연출에 사용됐던 전나무를 활용해 도심숲 조성에 나선다.현대백화점은 오는 22일 서울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더

경기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 90% 지원

경기도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내 민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텀블러세척기 구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

기후/환경

+

대선 후보 '기후공약' 첫 TV토론...탄소감축 방안 '극과극'

대통령선거 TV토론에서 처음으로 기후와 환경을 주제로 한 토론이 진행됐다.2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

엘니뇨 물러간 올여름 작년보다 덜 덥고 비 많다

엘니뇨가 물러간 올여름은 지난해보다 폭염은 덜해질 수 있지만 비는 더 많이 쏟아질 예정이다.23일 기상청은 '6~8월 3개월 전망'에서 올여름 기온은 평

기상인력 수백명 해고됐는데...美 허리케인 10개 강타 예고

올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최대 10개의 허리케인이 미국을 강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30년간 해마다 평균 7개의 허리케인이 강타한 것과 비교

호주 남동부 역대 '최악의 홍수'...4만8000명 고립

호주 남동부 뉴사우스웨일즈주에 역대 최악의 홍수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홍수로 인해 4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4만8000명이 고립됐다.23일 호

펭귄 똥에서 나오는 암모니아...기후변화 영향 줄인다

남극 펭귄들의 배설물(guano)에서 방출되는 암모니아가 기후변화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3일 핀란드 헬싱키대학 매

370마리 남은 북대서양 참고래...저출산으로 사라질 위기

북대서양 참고래가 매년 50마리의 새끼를 낳아야 명맥이 유지되는데 해마다 출산하는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수년 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20일(현지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