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탈탄소 '빨간불'...온실가스 배출량 오히려 늘었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9-11 11:34:50
  • -
  • +
  • 인쇄
포스코 2.55%, 현대제철 2.7% 증가해
포스코와 현대제철 배출량 비중 16.2%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철강' 부문에서 지난해 배출량이 오히려 더 늘어나 우리나라의 '2050 탄소중립'에 적신호가 켜졌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지난 10일 공개한 지난해 철강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1억969만9009톤이다. 전년보다 3.34% 증가했다. 이는 우리나라 총배출량 6억2420만톤의 17.57% 비중으로, 철강 배출량 비중이 15.7%였던 2021년에 비해 1.87%포인트(p) 늘었다. 2023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대비 4.4% 줄었는데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철강기업들의 배출량이 늘어난 것이 이같은 결과를 초래했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 1위 포스코는 지난해 7197만1881톤을 배출했다. 전년보다 2.55% 증가했다. 현대제철 역시 전년보다 2.7% 증가한 2926만9107톤을 배출했다. 두 회사의 온실가스 배출량만 합쳐도 1억124만988톤으로, 국가 배출량의 16.2%를 차지한다.

포스코는 2021년말 포항1고로를 폐지한데 이어 2022년 태풍 '힌남노' 피해로 중단됐던 공장이 지난해 재가동되면서 배출량이 늘어났다고 치더라도, 현대제철까지 늘어난 것은 철강부문의 탄소감축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현대제철은 최근 전기로 가동률을 줄이고 석탄 기반의 고로(용광로)-전로 공정의 생산을 늘린 것이 배출 증가의 직접적 요인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제철이 앞으로 당진제철소에 499MW 규모의 신규 LNG 발전소를 추진하면 배출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기후솔루션 등 여러 시민환경단체들은 11일 공동 논평을 내고 "배출 책임이 있는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의 철강사는 고로 개수 중단 및 폐지에 대한 로드맵을 아직까지 발표하지 않고 있다"며 "다배출 업종인 철강업에 대해 관대한 정부와 말뿐인 노력을 이야기해온 철강업에 실망을 감출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철강기업만 탓하기도 어려운 일이다. 우리 정부는 철강산업 탄소감축을 위한 연구개발비 1조원을 무려 80% 삭감하면서 사실상 철강업의 탈탄소에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비해 일본은 철강부문 녹색전환 자금으로 2030년까지 3조엔(약 29조3552억원)을 쏟아부을 예정이다. 정부가 전폭 지원에 나서는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는 오롯이 민간으로 그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모습이다.

우리나라가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국가 배출량의 17%를 차지하는 철강부문의 탈탄소없이는 불가능하다. 철강산업은 철강 1톤을 생산할 때 이산화탄소 2톤이 발생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석탄 대신 수소를 촉매로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소환원제철' 설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예산이 싹둑 잘린 탓에 앞으로 8년간 2300억원으로 철강산업의 녹색전환을 해야 할 판이다. 

문제는 수소환원제철의 상용화 시점이 아무리 빨라도 2040년인데, 이 시점까지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관련업체들은 수소환원제철로 가는 중간단계로 탄소배출량을 30% 저감할 수 있는 전기로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치솟는 전기요금에 발목이 잡힐 수 있다.

이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재생에너지 전력망을 구축하고 기업들이 지속가능하게 사업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철강사는 고로 개수 중단 및 폐지 로드맵을 발표하고 2030년 이전에 수소환원제철 조기 상용화 및 전기로 확대를 서둘러야 한다"며 "정부는 소극적인 철강부문의 국가온실가스감축 목표(NDC)를 강화하고 저탄소 공정 도입을 앞당기기 위해 국내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의 경제성을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가 유럽, 일본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철강부문 탄소중립에 대한 재정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름다운가게, 사회혁신가 '뷰티풀펠로우' 15기 선발

아름다운가게가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사회의 지속가능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사회혁신리더 뷰티풀펠로우 15기를 선발했다

두나무 품은 네이버 "K-핀테크로 글로벌로 간다...5년간 10조 투자"

두나무를 인수한 네이버가 앞으로 인공지능(AI)과 웹3간 융합이라는 글로벌 기술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K-핀테크 서비스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

두나무 인수한 네이버...AI와 블록체인 앞세워 '글로벌 금융' 노린다

세계 3위 가상자산거래소 두나무가 네이버 품에 안기면서 20조원 규모의 금융플랫폼이 탄생했다. 26일 네이버와 두나무 이사회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

'비상경영' 롯데 인적쇄신...부회장 전원 용퇴에 CEO 20명 '물갈이'

롯데그룹이 부회장단 전원 교체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20명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를 단행했다.롯데그룹은 2026년 임원인사에서 9

롯데케미칼-현대케미칼, 석화공장 합친다...울산과 여수도 통폐합 속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의 석유화학 사업이 합쳐진다. 지난 8월 20일 10개 석유화학 기업이 사업재편을 위한 자율협약을 맺은 이후 첫번째 구조조정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기후/환경

+

플라스틱 문제 일으키는 '조화'...인천가족공원서 반입 금지될듯

인천가족공원에 플라스틱 조화(造花) 반입을 자제하도록 하는 조례 제정이 추진된다.26일 인천시의회에 따르면 전날 산업경제위원회를 통과한 '인천시

'2.5°C' 상승한 우즈베키스탄…극심한 가뭄에 이미 위기상태

우즈베키스탄 일부 지역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대비 2.5°C까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온난화로 인한 가뭄과 물부족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

엑손모빌 '화학적 재활용' 놓고 '그린워싱' 공방 격화

플라스틱 화학재활용을 둘러싼 엑손모빌과 환경단체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엑손모빌은 플라스틱 폐기물

태평양 참치에서 검출된 '수은' 오염경로 추적해봤더니...

참치 등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어류 몸속에 수은이 어떻게 축적되는지 그 경로가 밝혀졌다.포항공대(POSTECH)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연구팀과 한국

알프스·안데스·히말라야가 위험하다...기후변화로 곳곳이 '흔들'

험준한 산악지대로 유명한 히말라야를 비롯해 알프스, 안데스산맥이 기후변화가 불러온 기온과 강수패턴 변화로 인해 무너져내리고 있다. 25일(현지시

폭염에 열받은 젖소들...우유 생산량 줄고 있다

젖소들이 폭염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25일(현지시간) 푸드앤와인(Food & Wi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