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韓 온실가스 감축 5년동안 '겨우 14% 줄였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9-10 12:25:56
  • -
  • +
  • 인쇄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량이 5년동안 14%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져,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계획(NDC)에 수립한 목표 달성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10일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발표한 '2023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에 따르면 국가 총배출량은 6억2420만tCO2eq으로 전년대비 4.4% 감소했고, 2018년 대비 약 14% 줄었다. '2030 NDC' 목표 40% 시한을 불과 7년 남겨둔 지금, 이는 2018년 대비 20% 감축 목표에 한참 못미치는 결과다. 

국내 최다 온실가스 배출산업인 철강 부문에서는 감축은커녕 되레 2.4% 증가했다. 배출량 국내 1위인 포스코는 태풍 '힌남노'로 고로 가동을 중단했던 2022년 배출량이 7020만tCO2eq이었고, 지난해는 7200만tCO2eq로 집계됐다. 또 포스코는 올해 포항4고로에 이어, 광양제2고로도 수명연장을 했기 때문에 앞으로 두 개 고로에서만 1700만tCO2eq의 탄소가 2040년 이후까지 계속 배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제철 역시 2022년 2850만tCO2eq에서 2023년 2920만tCO2eq으로 증가했다.

기후솔루션은 "포스코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7~2019년 평균 7880만tCO2eq 대비 30% 감축해야 2050년 탄소중립이 가능하다"며 "현대제철 역시 2030년 감축목표인 2660만tCO2eq을 상회하고 있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이 요원하다"고 분석했다.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자료=환경부)

재생에너지의 신속한 보급이 탄소중립 이행의 관건이지만 지난해 원전 발전량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30년 목표치(31.8%) 비중에 이미 근접했을 정도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를 36%(110GW)~53%(199GW)까지 확충해야 하지만 지난해 태양광 및 풍력 발전량 비중은 5.6%로, 2030년 목표치 대비 8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지난해까지 태양광 설비용량은 23.9GW, 풍력 설비용량은 2.2GW에 그쳤다. 앞으로 2030년까지 7년간 매년 4.4%의 풍력, 태양광 발전량을 늘려야 하는 셈이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 따르더라도,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72GW 보급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매년 6GW 이상 추가 보급해야 한다. 그래야 2030년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1.6%까지 늘릴 수 있다. 하지만 산업부는 지난 5월 30일 출력제어 최소화를 이유로, 국내 재생에너지 주요 잠재지역인 호남을 일괄 계통관리변전소로 지정해 2031년까지 신규 재생에너지를 늘릴 수 없게 됐다. 

다행히 지난해 석탄발전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대비 800만tCO2eq 줄었다. 그럼에도 석탄발전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4월 G7 국가 에너지부 장관들이 2035년까지 석탄발전 중단에 합의했지만 우리나라는 2030년 전체 발전량의 17%에 해당하는 111.9TWh를 2035년에는 72TWh의 석탄 발전을 유지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2030년에도 석탄발전에서 9000만t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기후솔루션은 "국내 온실가스 배출이 지구온도 1.5℃ 이내 상승 목표에 부합하려면 가스발전도 2034년까지 퇴출시켜야 하지만 정부는 2030년 가스발전 비중을 25.1%로 오히려 상향시켰다"면서 "정부는 가스발전 확대를 멈추고,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반응자원(DR) 등 유연성 자원 확대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삼성전자, 전영현·노태문 '투톱' 체제…쇄신보다 '안정'에 방점

삼성전자 조직이 전영현 부회장과 노태문 사장 '두톱' 체제로 강화된다.21일 삼성전자는 반도체(DS) 사업의 전영현 부회장을 유임하고, 모바일(MX)·

대한항공, 삼성E&A와 손잡고 美SAF 시장에 진출한다

대한항공이 삼성E&A와 손잡고 미국발(發)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시장에 진출한다.대한항공과 삼성E&A는 이를 위해 지난 20일 오후

[ESG;스코어] 스코프2에서 멈춘 금융사들…공시품질 '신한 1위·KB 2위'

신한금융이 국내 금융사 기후공시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한국투자공사(KIC)는 최하위로 나타났다.20일 뉴스트리는 신한·KB·하나·우리

수퍼빈·아로마티카·커뮤니코, 순환경제 모델 구축 '맞손'

AI 기후테크 기업 수퍼빈과 아로마테라피 기반 스칼프&스킨케어 브랜드 아로마티카, 교육혁신 비영리단체 커뮤니코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체계 구

국민연금, ESG 책임투자 강화…'감사위원 3%룰' 반영

국민연금이 국내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ESG 책임투자를 한층 강화한다.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기후/환경

+

[COP30] 합의문 '막판 진통'…화석연료·기후재원 '평행선'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협상이 화석연료 전환과 기후재원을 둘러싼 이견으로 합의문 최종안이 막판

"하수구 좀 그만 막아"…英 물티슈 '판매금지' 결정

영국이 플라스틱 성분으로 제작된 '물티슈' 판매를 전면 금지한다.영국 의회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물티슈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의결했다고 지난

[COP30] 화재로 수천명 긴급 대피...합의문 협상도 지연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수천명이 긴급 대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0일(현지

[주말날씨] '단풍 나들이' 마지막 기회...다음주부터 춥다

이번 주말은 맑고 비교적 온화해 초겨울 나들이 나가기 좋은 날씨겠다.22~23일 한반도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남하하지 않겠다. 또 한

대한항공, 삼성E&A와 손잡고 美SAF 시장에 진출한다

대한항공이 삼성E&A와 손잡고 미국발(發)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시장에 진출한다.대한항공과 삼성E&A는 이를 위해 지난 20일 오후

[ESG;스코어] 스코프2에서 멈춘 금융사들…공시품질 '신한 1위·KB 2위'

신한금융이 국내 금융사 기후공시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한국투자공사(KIC)는 최하위로 나타났다.20일 뉴스트리는 신한·KB·하나·우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