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천장없고 성별 균형잡힌 기업에서 두드러져
직장 내 남성과 여성이 비율이 동일하고, 간부들의 성비가 다양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자산 수익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SG 요소가 회사에 이득을 주는 또하나의 지표로 해석된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최근 주요 선진국 상장 대기업(MSCI World index) 1250개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2022년까지 조직 내 다양성이 우수한 기업은 그렇지 못한 기업보다 연평균 자산 수익률이 2%가량 높게 나왔다.
직장 내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50대50인 기업의 연평균 자산 수익률은 7.7%로 가장 높았다. 남성 비율이 높은 기업의 연평균 자산 수익률 5.6%, 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의 연평균 자산 수익률은 6.1%로 나타났다.
블랙록 연구진들은 "기업 내 유리천장이 없고, 성별 균형이 잡힌 기업에서 이같은 현상이 두드려졌다"며 "직종별로는 엔지니어링 부분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블랙록의 에웰리나 주로우스카(Ewelina Zurowska)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기업의 종합적인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가가 아닌 자산 수익률을 지표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연구진들은 "중각관리직 및 경영진의 성별 다양성이 높은 기업은 직원 이직률이 낮고 수익률이 높은 경향이 있다"며 "또한 인사정책과 재무성과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출산 휴가가 더 긴 기업은 짧은 동종업계 기업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고 했다.
연구를 주도한 산드라 로슨(Sandra Lawson) 상무는 "출산휴가 등의 정책은 회사가 직원을 단순히 부품으로서가 아니라 한 개인으로서 소중히 여긴다는 신호를 사내구성원들에게 준다"며 "따라서 직원의 충성도와 사기가 올라가 생산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로슨 상무는 "인적자본은 투자성과에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모든 ESG 요소가 회사에 이득을 준다는 강력한 신호"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미국 내 반-ESG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ESG 경영과 수익성간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작지않다. 그간 정치권 일각에서는 "ESG 운동이 너무 편향됐다"며 "자산운용사들이 수익극대화를 위한 의무에서 벗어나 정치운동에 끼어들고 있다"는 비난이 일었던 것이다.
미국 ESG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는 그간 ESG 투자에 가해진 비판을 반박할 수 있는 주요 예시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ESG 중 S에 충실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자산운용사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실제 ESG와 기업 수익간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는 이외에도 다양하다.
가령 맥킨지 & 컴퍼니(McKinsey & Company) 연구에서는 성별 다양성이 수익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는 연구를 통해 "이사회 구성원의 다양성이 높은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자기자본수익률이 높고 주당순이익의 변동성이 낮다"고 밝혔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Columbia Business School) 시바람 라즈고팔(Shivaram Rajgopal) 교수는 이번 연구를 두고 "ESG 내부경영의 핵심은 직원들이 출근하고 싶어하는 회사를 만드는 것"이라며 "사내문화가 개선된다면 불필요한 갈등이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의사소통이 신속하고 명확해진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