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없는 '알츠하이머'…억제제 개발 실마리 찾았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6-02 15:58:35
  • -
  • +
  • 인쇄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독성 물질 형성을 방해하는 억제제 개발의 실마리를 찾았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김준곤 교수, 최태수 교수 연구팀이 윌리엄 고다드 3세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단백질의 응집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억제제를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질환의 일종으로 뇌세포가 죽고 조직이 상실되면서 지적 능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신경세포가 소실되거나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언어구사력·이해력·읽고 쓰는 능력 등에 장애가 발생하며 치매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실제로 국내 치매 환자 가운데 70%는 알츠하이머 발병자다.

알츠하이머병의 주 원인은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로, 잘못 접히면 서로 달라붙으면서 독성이 있는 섬유 형태의 덩어리(응집체)를 형성해 병을 유발한다. 최근 이 단백질이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지면서 단백질을 직접 겨냥해 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는 약물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응집 억제 효과 향상 과정 모식도(사진=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해 잘못 접힌 구조로 자가조립·응집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펩타이드 억제제를 설계했다.

응집 억제를 위해선 고농도의 펩타이드 응집 억제제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보다 더 많이 존재해야 하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구조 변화가 필수적이다. 연구진은 "자물쇠와 열쇠처럼 서로 모양이 잘 맞으면 강력한 결합력을 갖게 되지만, 비정형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와 기존 억제제는 결합력이 약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정형 상태의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과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반 평행 베타 평판' 구조의 형성을 유도했다. 그 결과 기존 억제제보다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응집체 형성이 감소하며 세포 독성이 크게 완화됐다. 또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는 능력과 혈장 내 안정성도 치료와 예방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나오기도 했다.

김준곤 교수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구조적 특성을 규명해 안정적인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을 제시했다"며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치료제 개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독일화학회지'에 지난달 22일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기후/환경

+

日 도카라열도서 또 '지진'...6월부터 900회 '흔들'

7월 대지진설이 돌고 있는 일본에서 소규모 지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2일 일본 기상청은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 해역에서 오후 3시 26분경

"온난화 때문만은 아니다"…남극 해빙 줄어든 진짜 이유는 '염분'

지구온난화가 남극 해빙을 녹이는 주된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해수 염분이 더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해수면의 염분이 높을수록

열돔과 열섬에 47℃까지 치솟는 유럽...WMO "폭염은 이제 일상이 됐다"

유럽이 47℃까지 치솟는 역대급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세계기상기구가 전세계는 이제 폭염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 경고했다. 세계기상기

때이른 폭염에 사람도 가축도 '신음'...곳곳 폭염 피해 속출

전국이 습하고 더운 '가마솥 더위'에 시달리고 있다. 2일 낮 최고기온이 36℃에 이르면서 사람과 가축도 탈진하거나 목숨을 잃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 제거 신소재...AI로 찾았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을 제거하는 흡착 신소재를 인공지능(AI)로 찾는데 성공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류호진 교수와 한국화

[날씨] 낮에는 36℃ '가마솥 더위'...밤에는 '열대야' 기승

2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겠다.당분간 기온은 평년(최저 19∼21℃·최고 25∼29℃)보다 높겠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