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로 강해지는 태풍...괌 강타할 '마와르'도 수퍼태풍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5-24 17:36:34
  • -
  • +
  • 인쇄

기후변화로 태풍의 위력이 강해지면서 그 피해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현재 태평양의 휴양지 괌을 향해 돌진하고 있는 태풍 '마와르'(MAWAR)는 중심 기압이 930헥토파스칼(hPa)로 매우 강력한 위력을 지니고 있다. 시속 180km에 달하는 바람과 함께 괌 인근으로 접근하고 있어, 현지는 초비상 상태다. 

미국 기상청은 현지시간으로 24일 정오쯤 태풍이 괌 남부를 강타할 수 있다고 예보했다. 마와르가 초강력 태풍인만큼 20년만에 괌에 엄청난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비상선언'까지 내렸다.

루 레온 게레로 괌 주지사는 소셜서비스(SNS)를 통해 해안 저지대에 거주하는 주민 15만여명에게 대피할 것을 지시했다. 괌 주민들은 생필품을 비축하고 창문을 단단히 고정하는 등 태풍 상륙에 대비하고 있다.

당초 우리나라로 향할 것으로 예상됐던 마와르는 괌을 강타한 이후 필리핀 동쪽 해상을 향해 이동하다가 27일부터 서북서진하면서 마닐라 북동쪽으로 움직일 것으로 기상청은 예상하고 있다.

'마와르'처럼 태풍들이 이동하면서 위력이 점점 강해져 수퍼태풍으로 돌변하는 원인은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목했다. 지구 기온과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허리케인과 태풍을 포함한 열대성 사이클론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한 피해도 점점 커질 수밖에 없다.

지난 2017년 미국 텍사스를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는 홍수 피해를 입혔다. 당시 수일동안 내린 비로 인해 강우량이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일본에 상륙한 태풍 '하기비스'는 예년의 다른 태풍에 비해 최소 40억달러의 추가피해가 발생했다. 모두 기후변화가 태풍의 피해를 더 키웠다는 것이다.

해수면 상승도 태풍의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 19세기 이후 전세계 해수면은 20.32cm 상승해 해안지역을 위협하고 있고, 폭풍우에 따른 홍수 위험도 증가시키고 있다.

해수면 상승으로 폭풍이나 해일의 완충 역할을 하는 늪, 습지까지 물에 잠기고 있다. 미국 북동부 체사피크만 주변 지역사회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해수면 상승으로 습지가 사라질 경우 폭풍으로 인한 침수지역이 4배 이상 늘고 피해금액이 80억달러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습지보호 가치를 연간 평균 제곱킬로미터당 180만달러로 매겼다. 습지가 더 많은 지역이 폭풍으로 인한 재산피해를 적게 입는다는 것이다.

온난화로 바다 자체가 뜨거워지는 것도 태풍의 위력을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온실가스 배출로 발생한 열의 약 90%가 바다에 흡수됐다고 계산했으며, 미국 메사추세츠주 우즈홀해양학연구소는 해수층의 가장 위층인 혼합층이 1901년 이후 약 1.5℃ 더 뜨거워졌다고 밝혔다.

대기와 해양의 온난화는 강한 바람을 일으키고 구름 양을 증가시켜 허리케인 성장을 촉진한다.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기후위기가 허리케인에 미치는 영향이 "불에 연료를 더하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허리케인의 속도도 느려지고 있다. 한 연구는 지난 70년동안 허리케인의 속도가 10% 감소했다고 관측했다.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기후위기의 결과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허리케인이 느려지면서 해안지역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피해가 더 커지고 있다. 허리케인 '하비'는 소멸하는데 오랜시간 걸렸으며 그때까지 텍사스 걸프해안을 초토화시켰다. 그 결과 일부 지역은 1000mm가 넘는 비가 내리면서 홍수가 발생했다. 이 홍수로 주택 수천채가 파손되고 100여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밖에도 지난 4년간 루이지애나의 허리케인 '로라', 바하마의 허리케인 '도리안', 모잠비크의 열대 사이클론 '이다이', 필리핀의 태풍 '망쿳' 등 열대성 폭풍으로 세계 곳곳에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다. 2017년에만 허리케인 하비, 이르마, 마리아가 텍사스, 카리브해, 푸에르토리코를 초토화시켰으며 같은 해 사이클론 오키가 인도와 스리랑카를 강타해 9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앞으로도 태풍 피해가 더 심각해질 것이라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빙그레, 지주사 전환과 인적분할 계획 '백지화'

빙그레가 '빙그레홀딩스'와 '빙그레'로 인적분할하겠다는 계획을 철회했다.빙그레는 지난해 11월 22일 이사회에서 결의한 지주회사 전환을 위한 인적분

KCC·HD현대 손잡고 개발한 도료, 환경표지 인증 '취득'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친환경 선박 발주가 늘어나 조선업계가 호황을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KCC와 HD현대(HD현대

스마트안전시스템 AI·챗GPT 기반 'AI 안전함'으로 진화

스마트안전시스템인 '안전함'이 인공지능(AI)과 챗GPT 기반의 'AI 안전함'으로 진화했다. 사단법인 한국스마트안전보건협회는 '안전함'에 AI와 챗GPT 기술

코오롱, 저소득층 아이들 위한 기부천사 '드림팩' 진행

코오롱그룹이 저소득가정 아이들을 위한 선물꾸러미 '드림팩(Dream Pack)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지난 2012년부터 시작된 코

과대포장과 스티로폼 '확 줄었다'...설 선물세트 '친환경' 대세

과대포장과 스티로폼 포장이 판을 치던 예년과 달리, 올해 설 선물세트 시장은 친환경 포장재가 대세로 굳어진 모습이다. 20일 본지가 백화점과 대형마

트럼프 취임식 4대그룹 총수 '불참'...참석하는 韓기업인 누구?

오는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열릴 예정인 가운데 취임식에 참석하는 우리 기업인들의 명단도 윤곽이 드러나고

기후/환경

+

거대한 탄소창고 '북극'…이제는 지구온난화 '부채질'

지구의 거대한 '탄소창고' 역할을 하던 북극의 툰드라와 숲, 습지의 3분의 1이 탄소배출원이 됐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구동토층에 수 천년

'불의 고리' 대만 100차례 넘게 '흔들'...TSMC, 연속지진에 큰 피해

규모 6.4의 지진이 발생한 대만 남부지역에서 여진이 100여차례씩 이어지고 있다. 27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대만 타이둥현 서쪽 10km 지역에서

130km급 역대급 폭풍이 몰려오는 英 아일랜드 '초비상'

최대 풍속 130km/h에 달하는 역대급 폭풍이 영국 아일랜드에 몰아닥칠 것으로 예고됐다.23일(현지시간) 영국 국립기상센터는 24일 오전 2시부터 폭풍 '에

'LA 산불' 강풍에 되살아났다…하루새 여의도 10배 잿더미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서부에서 발생한 산불이 잠잠해지는가 했더니, 또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을 타고 확산되면서 하루밤

[주말날씨] 맑고 포근하다가...설 연휴 '많은 눈'

설 연휴를 앞둔 이번 주말은 전국이 맑고 포근하겠지만 설 연휴에는 흐려지면서 많은 눈이 내리겠다.오는 25~26일은 우리나라가 고기압 영향권에 놓이

'불의 고리' 연달아 지진·화산...후지산 폭발 가능성 '모락모락'

몇 일전 일본과 대만에서 규모 6.9에 달하는 강진이 발생한데 이어 23일(현지시간) 필리핀에서도 규모 5.7와 5.4 지진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공포가 확산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