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여론 떠보기?…'버스요금 거리비례제' 없던 일로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8 16:56:48
  • -
  • +
  • 인쇄
"돌고 도는 버스에 추가요금?" 거센 반발
서울시 "경기도민 부담 고려해 추진 중단"
▲서울시 거리비례 운임제 도입 추진 취소(사진=연합뉴스)

8일 서울시가 버스 탑승거리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거리비례 운임제' 도입을 추진하려다 시민들의 강력한 반발에 결국 도입 취소를 결정했다.

앞서 지난 6일 서울시는 균일요금제를 적용하고 있는 시내버스에 거리비례제를 도입하고자 시의회에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조정 계획안에 대한 의견청취안'을 제출한 바 있다. 서울시는 현재 지하철은 탑승거리에 따라 요금을 더 내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버스는 기본요금만 내도록 하고 있다.


만약 거리비례제가 도입되면 간·지선버스는 탑승거리가 10㎞~30㎞이면 5㎞마다 150원씩 추가되고, 30㎞를 넘으면 또 150원이 더 추가된다. 광역버스·심야버스도 비슷한 방식으로 탑승거리에 따라 요금이 부과된다. 다만 마을버스는 균일요금제를 유지한다.

문제는 서울시에서 버스 기본요금을 300~400원 올릴 예정인데, 여기에 거리비례제까지 도입하면 버스요금 인상률이 대폭 커진다는 것이다. 만약 서울 시내버스를 타고 15㎞ 떨어진 곳으로 간다면 현재는 교통카드를 사용했을 경우 1200원만 내면 되지만 기본요금 인상과 거리비례제가 도입됐을 때 1650~1750원으로 37.5~45.8% 인상되고, 만약 탑승거리가 21㎞이면 1800~1900원으로 무려 50~58% 인상되는 셈이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서울과 경기도에 사는 시민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졌다. 누리꾼들은 개인 소셜서비스(SNS)에 "직행도 아니고 돌고 도는 버스에 거리비례 추가요금이 왠 말" "전기·가스비에 택시비, 지하철이랑 버스 기본요금도 올리면서 또 올리냐" "내는 세금은 늘어만 가는데 공공요금마저 늘어난다" 등 비난이 빗발쳤다.

서울로 출근하는 경기도민 정모씨는 "지난달 가스비 폭탄을 맞아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데 피할 수 없는 교통비를 이렇게 올리면 어쩌자는 건지 모르겠다"며 "상류층 세금을 줄여준 만큼 서민들의 주머니에서 더 꺼내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앞서 경기도는 버스요금 동결을 선언하면서 서울시의 버스 거리비례제 도입 추진에 대해 반대하고 나섰다. 최근 치솟는 물가인상을 고려해 도내 버스요금을 동결하는 마당에 서울시의 거리비례제로 사실상 요금이 인상되는 것은 민생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7일 도정 연설에서 "전방위적인 물가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버스요금마저 오른다면 도민들이 체감하는 어려움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경기도는 '버스요금 동결'을 시작으로 대중교통체계를 개선하는 중장기 대책을 빈틈없이 준비해 도민들의 시름을 덜어드리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반대 의견들이 이어지자 결국 서울시는 이날 시내버스 거리비례제 도입 추진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의견청취 과정에서 현재 지속된 고물가로 서민 경제 부담이 있었다"며 "특히 서울로 출퇴근하는 인천시민과 경기도민의 부담을 고려해 거리비례제 도입을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KT "해킹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

KT가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5개월간 무료 데이터 100기가바이트(GB)와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또는 단말기 교체비를 지원한다고 29일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후/환경

+

목표를 이미 60% 달성?...2035년 NDC 산업 배출전망 '뻥튀기'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과거의 '산업부문 배출 과대추정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윤석열 정부가

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