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을 태우지 말라"…바이오에너지 종식 선언 나올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7 08:55:02
  • -
  • +
  • 인쇄
과학자들, COP15 앞두고 각국 정상에 촉구
"산림벌채가 기후위기·생물다양성 파괴 주범"

5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는 유엔 COP15생물다양성정상회담을 앞두고 650명 이상의 과학자들이 세계정상들을 상대로 에너지를 목적으로 나무를 태우지 말 것을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산림벌채가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리시 수낙 영국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등 세계 지도자들에게 보낸 서한에 따르면 바이오에너지가 '탄소중립'이라는 오해로 인해 많은 국가들이 넷제로 목표를 이유로 산림바이오매스에 의존하고 있다. "기후와 생물다양성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숲을 그대로 두는 것이지만 바이오매스에너지는 그 반대"라는 것이다. COP15를 준비하면서 이들은 산림바이오에너지가 국제기후자연목표를 훼손하는 만큼 각국이 바이오에너지 사용을 시급히 중단하고 대신 풍력, 태양열 등 재생에너지원을 사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한은 세계 지도자들이 COP15회담에서 2030년까지 육지와 바다의 30%를 보호하기로 합의한다면 바이오매스에너지 의존도 또한 종식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관행이 계속될 경우 COP15와 기후회담에서 맺은 공약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서한의 주 저자인 알렉산드르 안토넬리(Alexandre Antonelli) 영국 큐 왕립식물원(Kew Gardens) 과학책임자는 "에너지안보는 주요한 사회적 문제지만 답은 우리의 소중한 숲을 태우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바이오매스가 '녹색에너지'라는 생각은 오해이며 오히려 세계적인 생물다양성위기를 부추길 위험이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바이오에너지가 저탄소에너지의 1/3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했다. 특히 영국은 바이오매스용 목재 펠릿의 최대 수입국으로 2019년에는 미국에서 5백만 톤 이상을 들여왔다. 바이오매스는 영국 넷제로 전략에 있어 상당부분을 차지하며 지난 10년간 56억 파운드의 보조금까지 받아갔다. 캐나다, 에스토니아, 미국은 바이오매스용 목재를 가장 많이 공급하는 국가다.

그러나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려 나무를 벨 경우 숲에 갇혀있던 탄소가 방출돼 배출량이 늘고 탄소부채가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탄소부채를 상쇄하려면 나무가 다시 자랄 때까지 수십 년 혹은 심지어 수 세기씩 지나야 한다고 경고했다.

나무를 태워 전력을 생산하는 일 또한 비효율적이다. 대기 중 탄소 배출량이 가스나 석탄보다도 많은 데다 목재를 수확하고 운반하는 데도 에너지가 쓰인다. 바이오에너지에 따른 기후영향은 이미 수년간 전문가들이 경고해왔지만 이제는 기후뿐만 아니라 자연에도 심각한 위험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가 잇따르고 있다.

서한의 주요 저자인 윌리엄 무모(William Moomaw) 미국 터프츠대학 교수는 "숲은 화석연료로 인한 전세계 배출량의 약 30%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종의 서식지이고 지구상에서 가장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장소"라고 설명했다. 그는 "산림바이오에너지가 세계적 생물다양성의 핫스팟인 미국 남동부 해안산림, 유럽 발트해 연안국가, 캐나다 아한대 산림, 동유럽 카르파티아산맥의 보호림 생태계를 불법벌채하게 만든다"며 "이들은 모두 대체할 수 없는 희귀한 식물 종, 포유류, 조류의 서식지"라고 밝혔다.

미국 비영리환경단체 '천연자원보호협회(NRDC)'의 엘리 페퍼(Elly Pepper)는 바이오매스 같은 가짜 재생에너지를 넷제로 계획의 중심에 계속 두면 모든 글로벌 환경협약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세계의 야생동물은 이미 사라지고 있으며 바이오에너지산업은 귀중한 산림서식지를 파괴해 이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아, 전기 PBV 'PV5' 택배차량으로 본격 공급한다

내연기관 중심의 택배 차량들이 친환경 전기차량으로 전환된다. 기아는 자사의 친환경 전동화 모델인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

[알림] 11월 6일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 개최합니다

오는 11월 6일 국내외 녹색금융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보는 '제5회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이 서울 강남구 웨스틴

기후/환경

+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1.5°C 목표 실패...아마존이 사바나될 것"...유엔 사무총장의 경고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지난 2015년 파리에서 전세계 정상들이 모여 합의한 '지구평균기온 1.5℃ 억제하자'는 목표는 이미 실패로 돌아갔다는 판단이

기후변화로 해양자본 갈수록 훼손...WEF "해양경제 붕괴 막아야"

세계경제포럼(WEF)이 기후변화와 오염으로 해양경제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경고했다.27일(현지시간) WEF가 공개한 보고서 '해양경제가 지속가능한

[날씨] 첫서리·첫얼음에 가을이 '꽁꽁'...추위 언제 풀리나?

갑자기 추위가 몰려오면서 첫서리가 내리고 얼음까지 얼었다. 가을에 찾아온 때이른 추위는 오는 29일 낮에 물러날 전망이다.28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

밤하늘 곤충이 사라진다…레이더가 포착한 생태계 이상신호

밤하늘을 날던 곤충들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국립기상청(Met Office)과 국가대기과학센터(NCAS) 연구진은 2014년~2021년까지 영

“기후대응이 수익구조로 변질”…브라질 연구진 '기후상품화' 비판

브라질 연구진이 기후대응이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이윤 중심으로 흐르고 있다며 경각심을 촉구했다.27일(현지시간) 브라질의 환경정책 연구기관 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