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생산금지' 현실화되나?...UN 3년내 '플라스틱 규제조약' 만든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03 10:30:01
  • -
  • +
  • 인쇄
제5차 유엔환경총회...175개국 만장일치 통과
2024년까지 플라스틱 전 생애주기 규제안 도출
▲2일(현지시각) 케냐 나이로비의 유엔환경계획(UNEP) 본부에서 열린 유엔환경총회(UNEA) 동안 설치된 거대 플라스틱 병 집합 조형물 (사진=연합뉴스)


해양플라스틱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생산과 폐기 전반에 대해 규제하는 '플라스틱 오염 규제협약'이 2024년까지 만들어진다. 이는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 이후 전세계가 합의한 가장 중요한 환경협약이 될 전망이다.

2일(현지시간)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175개 유엔회원국들의 대표 및 전문가 5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4년 말까지 법적 구속력이 있는 플라스틱 오염관련 조약을 만들기로 한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UNEA는 유엔환경계획(UNEP)의 사업계획 및 예산, 주요 환경 쟁점을 논의하는 최고위급 환경회담이다. 이번 UNEA의 주요 쟁점은 '플라스틱 오염문제'다. 1950년부터 2017년 사이 총 92억톤의 플라스틱 제품이 생산됐고, 이 가운데 70억톤 가량이 폐기물로 버려졌다. 이 폐기물 중 75%는 매립되거나 육생 및 수생 생태계에 그대로 축적되고 있다. 플라스틱 생산은 해마다 늘고 있지만 재활용 비율은 10%가 채 안되고 대부분은 매립되거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1분마다 쓰레기 트럭 한 대 분량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쏟아져 들어간다는 추정도 나온다.

이번 협약은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부터 재활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생애 전주기를 다루며, 먹이사슬까지 영향을 미쳐 식탁 위 음식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미세플라스틱도 대상으로 삼는다. 또 국제기금, 과학자문기구 등을 마련해 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금전적·기술적 지원이 포함된다. 추후 세부적인 사항을 조정해 최종안을 확정할 수 있도록 정부간협상위원회(INC)가 구성될 예정이다.

통상 글로벌 협약을 만드는데 5년∼10년을 요구하는 데 비해 불과 플라스틱 규제협약 논의 기간이 3년으로 잡힌 것은 그만큼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2일 글로벌 여론조사·마케팅 리서치업체 입소스(Ipsos)에 따르면 전세계 소비자 4명 중 3명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EA 조약이 구체화할 경우 전세계 석유화학 기업과 경제에 파급 효과를 불러올 전망이다. 특히 주된 플라스틱 생산국인 미국, 인도, 중국, 일본 등에 상당한 충격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플라스틱 이권을 지키기 위한 세력의 반대에 부딪혀 협약의 의의가 퇴색될 우려가 제기됐다. 실제로 지난달 엑손모빌케미칼, 셸케미칼, 다우 등 190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산업단체 미국화학협회(ACC)는 UNEA의 합의안 골자를 플라스틱 공급망 전반에 걸친 오염문제 해결이 아닌 해양플라스틱 쓰레기로 축소시키기 위해 전방위 로비를 진행한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스위스 환경대사 프란츠 페레즈(Franz Perrez)는 "야심찬 목표를 두고 국가간 이견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함께 극복해 나갈 것"이라며 의지를 다졌다.

에스펜 바스 에이데(Espen Barth Eide) UNEA 의장은 "지정학적 혼란이 벌어지고 있는 와중에 UNEA는 최상의 다자간 협력을 보여준다"며 "플라스틱 오염은 감염병 수준으로 커져버렸다. 오늘의 결의안으로 우린 공식적으로 그 병에 대한 치료과정에 들어섰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한국노총·민주당·쿠팡 '한자리'..."택배산업 발전 위해 소통" 다짐

택배산업 발전을 통해 노사가 윈윈하기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댔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과 김사성 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위원장,

'참붕어빵' 제품에서 곰팡이...오리온 "전량 회수조치"

오리온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가 검출돼 전량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오리온은 참붕어빵 제품 일부에서 곰팡이 발생 사례가 확인돼 시중에

F1 '넷제로' 향한 질주 5년만에 탄소배출량 26% 줄였다

영화 'F1 더 무비' 개봉과 함께 서킷 위 스피드에 열광하는 팬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포뮬러1(F1)은 탄소중립을 향한 질주도 이어가고 있다. F1은 2019년 '20

수자원공사, 재난구호용 식수페트병 '100% 재생원료'로 전환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재난구호용으로 지급하는 식수페트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든 소재를 사용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자원공사가 제공하는 이 생

친환경 사면 포인트 적립...현대이지웰 '그린카드' 온라인으로 확대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의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이 녹색소비생활을 촉진하기 위해 친환경 구매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그린카드 적립서비스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기후/환경

+

'양산' 쓰는 남자가 늘고 있다..."사막같은 햇빛 그늘막으로 제격"

여자들만 주로 사용하던 '양산'이 38℃를 넘나드는 폭염에 남자들도 여름 필수템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패션 플랫폼 무신사

AI로 탄소포집하는 콘크리트 찾아냈다

수백 년간 공기 중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소재를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찾아냈다.23일(현지시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비터비공과대

불볕더위 '아차'하면 온열질환에 쓰러져...폭염 안전수칙은?

전국 곳곳에 폭염경보 혹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폭염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폭염주의보는 최고 체감온도 33

EU·중국 '기후리더십' 주도권 노리나?…'기후협력' 공동성명 채택

미국과 대척점에 서있는 중국과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기술을 공동보급하기로 하는 등 협력관계를 더욱 밀착시키고 있다.24일(

산불 1년만에 한달 두차례 홍수...美 뉴멕시코주 마을의 수난

미국 뉴멕시코주 루이도소 마을이 또 물에 잠겼다. 이달에만 벌써 두번째 홍수다. 2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루이도소 일

폭염에 차량 방치하면 실내온도 90℃까지...화재·폭발 막으려면?

차량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실내온도가 90℃까지 치솟으면서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염시 차량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5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