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토의 땅' 옛말되나...지난해 시베리아 38도까지 치솟았다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1-12-17 12:12:42
  • -
  • +
  • 인쇄
관측 135년만에 역대급 온도로 기록 등재
북극의 얼음 겨우 서너달 볼 수 있을 정도


지난해 6월 시베리아의 최고기온이 38도까지 치솟았다.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135년만에 역대급 온도를 기록한 것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해 6월 북극권에 위치한 러시아 베르호얀스크시의 낮 최고기온이 38도를 기록했다는 사실을 '극단적 기상·기후 기록보관소'에 정식으로 등재했다고 지난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WMO가 1885년부터 북극 기온을 관측한 이래 가장 높은 온도다. 이에 WMO는 북극의 기록적인 더위를 처음으로 기록보관소에 등재한 것이다. 
 
6월 평균온도가 20도 안팎을 기록했던 시베리아가 이처럼 기록적인 기온 급상승을 겪는 것은 지구온난화 영향이 가장 크다는 분석이다. 산업혁명 이후 지구의 평균기온은 1도가량 상승했다. 그러나 북극의 기온은 2도 이상 상승했다. 특히 최근 10년동안 북극의 기온은 0.75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북극 베링해의 얼음이 보통 8개월 지속됐는데 최근들어 겨우 서너달 볼 수 있을 정도"라고 했다.

늦봄에서 여름 사이에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 얼음 주위에 연못같은 웅덩이들이 생긴다. 이는 주변의 눈이나 얼음보다 햇빛 반사율이 낮아서 더 많은 양의 태양 복사 에너지를 흡수한다. 그 결과 더 많은 얼음이 녹으면 웅덩이들이 더 커지고 결국 빙하가 붕괴된다. 갈수록 평균기온이 올라가면서 북극은 앞으로 눈보다 비가 더 많이 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는 올해 150년 만의 가장 건조한 여름을 겪었다. 올 4월~6월 사이에 건조해진 날씨탓에 화재가 잇따르기도 했다. 이 화재로 인한 연기가 북극을 강타하기도 했다. 화재 피해가 가장 컸던 지역은 사카공화국(야쿠티아)의 고니 울루스숲으로, 초록빛이 거의 사라지고 짙은 검은색으로 변했다. 

WMO는 "북극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따뜻해지는 지역 중 하나"라며 "지구 평균온도보다 2배 빠르게 뜨거워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WMO는 193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정부간 기구로, 기후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날씨와 기후 정보를 제공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