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이 송유관 건드려서?...美캘리포니아 기름유출은 '예고된 재앙'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10-05 16:06:45
  • -
  • +
  • 인쇄
수명 15년 초과한 송유관...해상 기름띠 여의도 10배 넘어
연안 시추사업 퇴출 목소리...'서부해안해양보호법' 재조명
▲ 청정해역으로 소문난 캘리포니아 해안가 모래사장이 유출된 기름으로 뒤범벅된 모습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부 해상에서 발생한 대규모 기름 유출 사고가 선박의 닻이 해저 송유관을 건드리면서 일어났을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닻이 아니더라도 일어날 수밖에 없던 예고된 재앙'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고가 일어난 송유관의 소유주 앰플리파이에너지의 마틴 윌셔 최고경영자(CEO)는 4일(현지시간) 선박의 닻이 송유관을 가격한 것이 기름유출의 "뚜렷한 가능성 가운데 하나"라고 밝혔다. 이 사고로 지난 1일 밤부터 오렌지카운티 헌팅턴비치 앞바다에서 최소 12만6000갤런(약 57만6962리터)의 원유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의 송유관은 로스앤젤레스(LA) 남쪽의 롱비치 항구에서 연안의 석유 굴착장치 엘리(Elly)까지 약 27km에 걸쳐 이어진다. 이번 사고로 롱비치 항구에서 남동쪽으로 약 22km 떨어진 헌팅턴비치에서 라구나비치에 이르는 해상에 서울 여의도 면적의 10배가 넘는 33.7km2 규모의 기름띠가 형성됐다. 또 90여종의 조류가 서식하는 72만8434m2 면적의 '탤버트 습지'가 완전히 파괴됐다.

환경운동가들은 기름을 뒤집어 쓴 조류들은 시각적으로 큰 충격을 주지만 가장 큰 피해는 고래와 해달 등 포유류가 입게 될 것으로 우려했다. 표면에 묻은 기름은 닦아낼 수만 있다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되지만 바다에 계속 머물면서 기름에 오염된 먹이를 섭취하는 포유류의 경우 더 피해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종국에는 유독성 화학물질이 바닷물에 녹아들면서 먹이사슬의 기반이 되는 플랑크톤이 직격탄을 맞게 되고, 생태계 전반에 큰 위기가 닥칠 전망이다.

▲물 위에 기름이 둥둥 떠있는 미국 캘리포니아 탤버트 습지


일각에서는 닻이 문제일 수 있다는 마틴의 이번 성명에 대해 "송유관 관리소홀 책임을 외부로 돌리려는 시도"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송유관의 설계수명은 대개 25년인데 비해 해당 송유관은 벌써 40년 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에너지 전문가들은 캘리포니아주처럼 지진활동이 활발한 곳에서 압력 게이지를 통해 송유관 상황을 제대로 모니터링하고 있었다면 기름이 눈에 보이기 전에 회사 차원에서 결함을 미리 발견했을 것이라며 송유관 관리실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촉구했다.

캘리포니아주에서 기름이 유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969년 산타바바라 해안 56km가 기름에 뒤덮인 사고를 계기로 환경오염 반대 시위가 일어나 '환경의 날'(4월 22일)이 제정되기도 했다. 캘리포니아주는 이런 움직임들에 힘입어 1980년대 이래 신규 연안 시추를 허가하지 않고 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캘리포니아에서 연안 시추 사업을 완전히 퇴출하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지난 1월 연안 시추 사업을 영구적으로 퇴출하기 위해 관련 법안 '서부해안해양보호법'을 발의한 다이앤 파인스타인(민주·캘리포니아) 상원의원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파인스타인 의원은 4일 성명을 발표해 "캘리포니아 주민 70%가 연안 시추에 반대한 바 있다"며 "이번 사고로 법안 통과의 필요성이 재확인됐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 지역경제는 관광과 휴양 낚시, 상업용 어획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깨끗한 해안 관리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생물다양성센터(CBD)의 해양 프로그램 담당자 사카시타 미요코는 연안 시추 플랫폼과 송유관을 '시한폭탄'에 비유하며 "석유산업 업체들은 안전한 운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형사고발과 범칙금이 이어진다 해도 기름은 계속 새어나갈 것"이라며 "유일한 해결책은 업장 폐쇄에 있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KT, 생물다양성 보전 나선다...수달서식지 '원동습지'에서 첫 활동

KT가 습지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 나선다.이를 위해 KT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이스트에서 국립생태원과 기후변화로 급감하고 있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기후/환경

+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씨] 다시 찾아온 장마...이틀간 수도권 최대 200㎜ '물폭탄'

13~14일 이틀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남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과 제11호 태풍 '버들'이 밀어올리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에서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확진자가 1만6500명...기후변화로 태평양 섬나라 '뎅기열' 급증

기후위기로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태평양 국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국가비상사태로까지 번지고 있다.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태평양 섬나라

부글부글 끓는 지중해...유럽 전역 산불과 40℃ 폭염에 '신음'

유럽 전역이 역대급 폭염과 산불에 신음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4세 어린이가 열사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고, 프랑스에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