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침몰한다?..."3380만명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5-09 11:28:09
  • -
  • +
  • 인쇄
▲ 6일(현지시간) 콜롬비아에서 발생한 폭우로 다리가 범람했다.

미국인 3380만명이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국 콜롬비아대학 레너드 오헨헨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시카고, 뉴욕, 디스트로이트 등 28개 도시 중 25개 도시에서 육지 면적의 최소 65%가 가라앉고 있으며, 약 3380만명이 이 가라앉고 있는 땅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안 도시들이 매우 빠르게 가라앉으면서 다음 세기에는 해안 지역이 해수면보다 낮아질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베이징, 멕시코시티, 테헤란 등의 대도시를 포함해 전세계 다수의 도시들이 주의가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지반 침하를 겪고 있다. 점차 땅이 가라앉을수록 건물, 도로, 다리, 댐 등이 무너지고 홍수 등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는 것이다. 

미국 텍사스주의 휴스턴, 포트워스, 댈러스에서 연간 4mm 이상의 침하율이 관찰됐다.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침하하는 도시는 휴스턴으로, 국토의 40% 이상이 연간 5mm 이상의 속도로 침하했다. 특히 휴스턴-갤버스턴 지역에서 장기간 지하수추출과 석유 및 가스 추출로 인해 연간 최대 5cm의 침하 속도가 발생하기도 했다. 2017년 기록적인 강우량과 폭풍 해일을 몰고 온 허리케인 하비가 초래한 홍수는 휴스턴 지역의 지반 침하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지기도 했다. 땅이 점차 가라앉아 지형 경사도를 변화시켜 홍수를 더 심각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오헨헨 연구원은 "느리게 가라앉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쌓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1년에 4mm씩 가라앉다가 10년 후에는 4cm가 되는 식으로 계속 누적되면 엄청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건물 밀도와 지형 변형을 분석한 결과, 텍사스주 샌안토니오가 가장 큰 위험에 처해 있으며, 45개 건물 중 1개가 막대한 피해를 겪을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반 침하의 상당 부분은 지하수 추출 및 새로운 사회기반 시설 건설과 같은 인간 활동에 의해 촉진된다고 밝혔다. 특히 침하의 80%는 지하수 추출과 관련이 있다. 지하수를 추출하면서 암석과 퇴적물 사이 공간의 압력이 줄어 들어 빈 공간이 서서히 붕괴되면서 지반이 가라앉는 것이다. 기후 변화로 인해 미국 일부 지역의 가뭄이 심해지면서, 지하수 추출로 인한 지반 침하는 사회 기반 시설에 더욱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대학 패트릭 바나드 지질학자는 "잠재적인 장기적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땅을 파서는 안된다"며 "지반 침하로 인한 위험은 전국의 지하수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변화를 요구할 만큼 크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5월 8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비행기 탄소배출 막대한데...항공업계 탄소감축 '뭉그적'

항공산업은 전체 탄소배출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항공업계의 미온

삼성 '갤럭시S25' 美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 수상한다

삼성전자가 자사의 '갤럭시S25'가 북미 재활용산업협회 ReMA(Recycled Materials Association)가 수여하는 '2025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다고 7일 밝혔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구멍?...탄소 줄고 독성물질 40% 증가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온실가스 감축에는 기여했지만 예상치 못한 또다른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허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국과학기술원(

"보험료 산정 어쩌나?"...美 NOAA, 기후손실액 추산 '올스톱'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기후재난에 의한 손실액을 더이상 추산하지 않을 전망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미국 상무부 산하기관으로, 일일 기

미국이 침몰한다?..."3380만명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

미국인 3380만명이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국 콜롬비아대학 레너드 오헨헨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무서운 '산불 연기'...美 15년간 1만5000명 사망

기후위기로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미국에서 매년 수천명이 사망하고 수십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최근 발표된 니콜라스 나시카스 하버드대

지구온난화 책임은 '부유층'…상위 10%가 온난화 영향력 65% 차지

1990년 이후 세계 상위 10% 부유층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반이 훨씬 넘는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국제응용

기후재난 피해는 젊은세대의 몫..."15억명이 폭염에 노출될 수도"

지구온난화가 심해질수록 젊은세대들은 폭염과 홍수, 가뭄, 산불, 흉작 등의 기후재난을 겪을 위험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