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커지는 싱크홀에 日 속수무책...15일째 수습 못하는 까닭

손민기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2 11:10:32
  • -
  • +
  • 인쇄
▲점점 커지고 있는 일본 사이타마현 야시오시의 싱크홀 모습(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8일 도심 한가운데에서 발생한 싱크홀에 대해 일본 당국은 속수무책 바라보고만 있다. 당초 땅꺼짐(싱크홀) 사고로 추락한 트럭을 구조하려고 했지만 지속적인 붕괴로 추가 피해를 우려해 손을 놓은지 15일이 넘었다.
 
12일 일본 현지언론에 따르면 일본 사이타마현에서 발생한 싱크홀의 지름은 보름 사이에 8배 이상 커진 상황이고, 급기야 꺼진 땅 구멍 아래에서 물기둥까지 솟구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 등은 처음 사고가 발생한 지난달 28일 땅꺼짐 크기가 지름 약 5m, 깊이 약 10m였다. 그런데 사고 다음날 이 싱크홀 부근에 또다른 싱크홀이 연쇄적으로 발생했다. 이 두 개의 싱크홀은 계속적인 붕괴로 하나로 합쳐져 지름 40m, 깊이 15m의 거대한 구멍으로 변했다.

일본에서 땅꺼짐 규모가 이처럼 장기간에 걸쳐 확대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지난 2016년 일본 후쿠오카시에서 발생했던 도로 싱크홀이 5시간동안 길이 30m, 깊이 15m로 구멍이 커진 사례가 전부였다. 

일본 소방청은 이번 싱크홀의 원인에 대해 "파손된 하수도관으로 유입되는 생활 폐수로 인한 함몰공간 침식"으로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지속적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붕괴의 범위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싱크홀 원인은 지반의 약화인데 사이타마현 싱크홀은 노후화된 하수도관의 파손에 의한 것이어서, 물이 계속 공급되면서 지반을 더욱 약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일본 소방청은 지난 4일 함몰되는 구멍의 수위를 낮추기 위해 인근 주민들의 도움을 받아 절수까지 단행했지만 기대했던만큼 효과가 미미했다. 이후에도 지반이 계속 약화되면서 구멍이 점점 더 커지다가, 이제 땅속에서 물까지 솟구치기 시작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싱크홀에 추락한 트럭도 구조되지 못한 채 아직까지 방치돼 있다. 여전히 추가 붕괴 위험성 때문에 접근을 못하고 있어서다.

이로 인해 일본에서는 싱크홀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 노후화된 하수도관 파괴가 싱크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인식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2030년에 이르면 설치된지 50년에 이르는 하수도관이 전체의 16%에 달하고, 터널은 35%, 도로 교각은 54%에 달한다.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싱크홀 등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도 노후화된 시설로 인한 싱크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간 6900억원의 수돗물이 줄줄 새고 있는 낡은 상하수도관은 땅꺼짐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20년이 넘은 상수도가 36.4%, 하수도가 43.0%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상수도 노후화율이 66.1%로 가장 높고, 대구시는 하수도 노후화율 74.0%로 가장 높았다.

하수도가 노후화될 경우에는 관로가 막혀 역류 등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래된 하수관로의 균열로 인해 누수 및 침수가 발생해 싱크홀을 유발하기도 한다. 최근 서울 및 대구에서 연달아 발생한 싱크홀도 노후화된 하수관의 손상이 원인이었다. 지난해 싱크홀 원인의 43.9%가 하수관 손상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한전이 재생에너지 확대 가로막아..."권한집중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국전력공사(한전) 중심의 전력계통 구조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로막고 있어, 전력망 계획·접속권한을 독립기관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지적이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날씨]"마스크 챙기세요"...전국 비·눈에 미세먼지까지 '나쁨'

25일 미세먼지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호남권의 대기질이 나쁘겠다.현재 국외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며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 호남은 미세먼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