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1Q 역대 최대 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이유'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4 17:29:04
  • -
  • +
  • 인쇄
▲현대자동차 수소전기차 '디올뉴 넥쏘'와 전기차 '아이오닉6'(사진=연합뉴스)

현대자동차가 올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지만 마음놓고 기뻐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 수출용 자동차에 부과된 25% 관세 여파가 올 2분기부터 반영되면서 이후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올 1분기(1~3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44조407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p) 오른 79.8%를 기록했다. 1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로 영업이익도 3조 6336억원으로 같은 기간 2.1% 늘었다.

현대차의 1분기 호실적 배경에는 미국 수요 증가가 있었다. 현대차는 올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100만1120대의 차량을 팔았다. 지난해 동기 대비 0.6% 줄었지만, 미국 판매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한 24만2729대를 기록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차에 부과한 관세가 본격적으로 적용되기에 앞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3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 품목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에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 부과로 가격이 인상되기전에 자동차를 구매한 효과가 1분기 실적으로 반영됐던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전기차(EV) 판매 확대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량이 38.4% 증가해 21만2426대를 기록했다. 특히 고수익 차종인 하이브리드는 지난해 동기 대비 40% 가량 증가한 13만7075대가 판매됐다.

또 원화 약세도 실적 상승에 힘을 보탰다. 올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53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높아진 덕분에 현대차는 6010억원 상당의 영업이익 증가 효과를 얻었다.

현대차 관계자는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매크로(거시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글로벌 판매 대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판매량 증가와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등을 바탕으로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9.2% 늘었다"고 밝혔다.

문제는 관세가 적용되기 시작한 2분기 실적이다. 지난해 기준 현대차와 기아가 미국에 수출한 차량은 약 101만대로 미국 전체 판매량의 57%에 달했다. 그만큼 관세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현대차·기아는 관세 리스크 영향을 줄이기 위해 미국 앨라배마주와 조지아주에 있는 생산공장의 총생산 규모를 120만대까지 끌어올리는 등 해외 생산 거점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또 오는 6월 2일까지 현대차 모델 라인업의 평균판매가를 동결해 현지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나갈 예정이다.

그러나 관세 영향 우려로 미국 시장에서 가수요가 발생해 1분기 호실적을 봤던 만큼, 2분기 수요 감소로 인한 실적 하락이 예상된다.

현대차 재경본부장 이승조 부사장은 24일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지난달 말까지 완성차를 최대한 선적해 3.1개월 수준의 미국 내 재고를 비축했고, 자동차 부품 재고는 더 많이 확보했다"며 "해당 재고로 관세 영향을 일정부분 만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대차는 코로나19 유행,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에 불구하고 개선한 펀더멘털을 기반으로 수익성 극대화, 체질 개선을 달성한 전례를 갖고 있다"며 "관세 영향도 면밀한 시장 모니터링, 경영환경 분석 등을 통해 손익을 만회하고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키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환경

+

기후변화에 위력 커진 태풍...알래스카 마을 휩쓸었다

미국 알래스카 해안이 태풍 할롱에 초토화됐다. 폭풍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1500명 이상의 마을 주민이 이재민이 됐다.15일(현지시간) 알

올여름 52년만에 제일 더웠다...온열질환자 20% '껑충'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작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9월 2

호주 열대우림, 탄소흡수원에서 '배출원' 됐다

기후가 점점 더 고온건조해지면서 탄소 흡수원인 열대우림이 역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연구진은 호주 퀸

CO₂ 농도 사상 최고치…WMO “기후시스템,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기후시스템이 위험단계로 다가서고 있다고 세계기상기구(WMO)가 경고했다.15일(현지시간) AP통

200개 마을이 고립됐다...멕시코 몇일째 폭우로 피해 속출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가 멕시코 중부와 동부 지역을 강타하며 최소 66명이 숨지고 75명이 실종됐다.16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멕시코 중

기후변화에 英 보험시장도 '지각변동'..."주택 수백만채 버려질 것"

기후변화로 홍수가 잦아지면서 미국에 이어 영국의 주택보험 시장도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14일(현지시간) 가디언은 영국 보험업계 분석을 인용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