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시스' 美 관세폭탄 피할 수 있을까?...부과되면 1조 손실 위기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6 10:13:53
  • -
  • +
  • 인쇄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 선적 부두와 야적장(사진=연합뉴스)

미국이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현대자동차 제네시스는 1조원 넘는 손실을 볼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외에서 생산된 현대자동차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지는 아직 불투명하지만, 만약 예외없이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면 미국 현지 생산물량이 적은 제네시스는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26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미국에서 제네시스를 7만5003대 판매했다. 이 가운데 미국 현지에서 생산되는 GV70(전동화+내연기관) 기종 약 2만9000여대를 제외하면 4만6000대가 관세대상이다. 이는 제네시스 미국 판매량의 61.3%에 이른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부과에 대해 24일(현지시간) "며칠 내로 결정하겠다"는 언급만 했을 뿐 구체적인 세율은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멕시코와 캐나다산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한 것을 감안하면 세율은 25%로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한미자유무역협정(FTA) 덕분에 지금까지 무관세로 수출했던 현대자동차는 갑자기 25% 관세를 물게 된 셈이다.

지난해 약 2만4300여대 판매된 GV80과 이외 제네시스 모델들의 현지 출고가를 기준으로 추산하면 미국에서 생산된 GV70 모델을 제외한 매출액은 약 28억4800만달러(약 4조1860억원) 정도다. 여기에 25% 관세가 적용되면, 현대차는 한국에서 생산한 제네시스를 미국에서 판매하기 위해 약 7억1200만달러(약 1조467억원)를 관세로 내야 한다. 지난해 현대차가 달성한 순이익 13조2299억원의 8% 비중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제네시스를 포함해 미국에서 지난해 약 170만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 이 가운데 70만대는 앨라배마공장과 조지아공장에서 생산된다.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26일 준공되면 30만대를 더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생산능력은 연간 100만대로 늘어난다. 또 현대차는 HMGMA의 생산능력을 30만대에서 50만대로 확대해 현지 생산능력을 총 120만대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제네시스 연도별 미국 판매량

그런데 120만대의 생산체제 기반을 확보하더라도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판매하는 제네시스의 관세를 피할 방법이 없어 현대차는 속앓이를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제네시스의 프리미엄 브랜드이기 때문에 대당 판매단가가 높다"면서 "그만큼 수익이 많이 발생하는 라인인데..."라며 우려했다. 

다만 지난 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미국에 210억달러(약 31조원)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는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와 관련된 기자 질문에 부과대상에서 제외되는 국가와 품목이 있을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 미국에 역대급으로 투자하는 현대차를 관세품목에서 제외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흘러나온다. 그러나 현대차 관계자는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발언 전문을 보면 미국 내 생산 차량에 대해 관세를 부여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보인다"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에 현대차는 대응책 마련에 부산한 모습이다. 현대차는 미국 내에서 압도적인 성장력을 보이며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더불어 고수익 차종으로 자리잡고 있는 제네시스의 가격 정책을 변동하긴 어렵기 때문에 현지생산으로 관세리스크를 돌파하겠다는 계획이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최근 열린 주주총회에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품목에 제네시스 모델을 추가할 것을 시사했다. HMGMA는 '아이오닉5'와 '아이오닉9' 등 전기자동차 2종을 생산할 예정이다.

하지만 미국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노조의 벽을 넘어야 한다. 현대차 노조는 해외 생산확대전 국내 공장의 고용안정과 설비투자 확대, 부품산업 육성 등 '일감 유지'를 선제 조건으로 내걸고 있다. 만약 현대차가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네시스 물량을 미국 현지로 돌리려면, 노조 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이다.

국내 고용 안정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노조 입장에서는 제네시스 생산기지 이전을 수용하기 힘들 것으로 보여, 현대자동차의 고민은 이래저래 깊어지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온-SK엔무브 합병결의..."8조 자본확충해 사업·재무 리밸런싱"

SK온과 SK엔무브가 11월 1일자로 합병한다. 지난 2월 SK온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한지 6개월만에 또다시 덩치를 키운다.SK이노베이션과 SK

'텀블러 세척기 사용후기 올리고 상품받자'...LG전자, SNS 이벤트

스타벅스 등 커피 매장에서 LG전자 텀블러 전용세척기 'LG 마이컵(myCup)'을 사용한 후기를 소셜서비스(SNS)에 올리면 LG 스탠바이미나 틔운 미니 등을 받을

올해만 5번째 사망자...李대통령, 포스코이앤씨 강하게 질타

올들어서만 4번의 사고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가 이재명 대통령의 질타를 받았다. 고용노동부는 포스코이앤씨 본사와 전국 65개 공사

폭염에 맨홀 사망자 또 발생...서울 상수도 작업자들 질식사고

한낮 최고기온이 38℃까지 치솟는 폭염 속에서 맨홀 작업을 하던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 이 작업자들은 맨홀로 진입하기전에 안전여부

LG전자 "자원순환 캠페인으로 폐배터리 100톤 수거"

LG전자가 고객 참여형 자원순환 캠페인 '배터리턴'으로 폐배터리를 100톤 이상 수거했다고 29일 밝혔다.배터리턴 캠페인은 LG전자 청소기의 폐배터리 등

아름다운가게, 수익나눔 '2026 희망나누기' 파트너 공모

비영리 공익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파트너 단체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26 아름다운 희망나누기' 사

기후/환경

+

"온실가스도 車배기가스 규제도 폐지"...美 환경규제 '흔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환경규제의 근간이 되는 온실가스 평가를 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제한도 폐지할 계획이다.리

밭에서 익어버린 단호박…폭염에 농산물과 축산 피해 잇달아

단호박이 밭에서 그대로 익어버리는 등 폭염에 농작물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제주시 한경면에서 미니 단호박 농사를 짓는 제주볼레섬농장 대표는 지

전담부서 해체한 美 'COP30' 불참할듯...기후리더십 中으로 이동?

미국이 올해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근 유럽연합(EU)과 기후협력까지 맺은

업종별 배출량 전망 모두 빗나갔다...엉터리 통계로 NDC 수립한 尹정부

윤석열 정부 시절에 산업 부문 탄소배출량 감축목표를 기존 14.5%에서 11.4%로 낮추는 근거로 삼았던 당시 산업연구원의 2024년 배출 전망이 완전히 빗나

캄차카반도에 '8.7 초강진'...일본·러시아 쓰나미 경보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오호츠크해에 접한 캄차카반도에 대규모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근처 지역에 재난 가능성이 우려된다.러시아와 일본에는 '

[날씨] 38℃ 펄펄 끓는 '중복'...내륙은 '열저기압' 발생

중복인 30일에도 한낮 최고기온은 32∼38℃에 달하는 폭염이 이어지겠다.대전은 38℃, 서울과 대구는 36℃, 광주는 35℃, 인천·울산·부산은 33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