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케이프코드 해양동물 고사 직전...원인은 '조류변화' 때문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2-31 16:32:54
  • -
  • +
  • 인쇄

미국 북동부의 휴양지로 알려진 매사추세츠주 케이프코드의 해안에 돌고래, 고래, 바다사자, 거북 등 해양동물들이 좌초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 국제동물복지기금(IFAW)은 돌고래나 고래 등 해양동물들이 부상을 입거나 해안에 갇히는 등의 좌초사고가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좌초된 해양동물들은 전문가의 도움없이는 바다로 되돌아갈 수 없어 그대로 폐사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해안에 좌초된 해양동물을 구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돌고래는 무게가 68~204kg에 달해 구조작업이 복잡하다. 담요, 눈가리개, 운반용 특수 패딩보드, 훈련된 직원과 자원봉사자 팀이 필요하며, 다시 풀어줄 만큼 건강한지 검사도 해야 한다. 건강이 나쁠 경우 돌고래는 복지 차원에서 안락사된다.

올 6월 케이프코드 해안에서는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140마리 이상의 돌고래가 좌초됐다. 이 가운데 7마리는 안락사되고 37마리는 폐사됐다. 좌초된 돌고래의 30%에 달하는 44마리가 죽은 것이다.

브라이언 샤프 IFAW 수석 생물학자는 해안에 좌초되는 동물들에 대해 "이들의 스트레스는 우리가 자동차 사고를 겪는 것과 비슷하다"면서 "좌초된 해양동물이 코요테 등 다른 육식동물에게 노출될 수 있어 구조작업은 시간싸움"이라고 말했다.

해양동물이 좌초되는 가장 큰 원인은 '조류변화'다. 전문가들은 조수 수위가 급격히 변화하면서 좌초된 동물의 유입이 늘었다고 지적했다. 케이프코드에서 썰물과 밀물의 차이는 3~4m에 달하는데, 밀물 때 해안에 들어온 동물이 썰물 때 나가지 못하고 갇히는 것이다.

돌고래뿐만이 아니다. 거북은 빠르게 식어가는 바닷물에 노출되면 '저온기절(cold-stunned)' 상태가 되어 쇠약해지고 건강이 악화될 수 있다. 특히 케이프코드에서 이같은 문제에 직면한 거북 대부분은 켐프각시바다거북으로,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바다거북이자 멸종위기종이다.

린다 로리 뉴잉글랜드아쿠아리움 구조·재활 관리자는 거북이 해변에 좌초되는 일은 드문 상황이 아니다"면서도 "최근 평소보다 더 많은 수가 해안에 밀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케이프의 메인만은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빠르게 온난화되는 수역이다. 호주 뉴잉글랜드대학에 따르면 이 해역의 바닷물 온도는 전세계 바다의 99%보다 더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거북이와 같은 동물들이 더 북쪽으로 이동해 케이프코드와 같은 곳에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유입된 거북은 그만큼 낮은 기온에 취약해져서 밀물에 연안으로 밀려왔다가 수온이 떨어져 죽을 위험을 맞고 있다.

분명한 해결책은 거북이 이곳을 벗어나는 것이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갈고리 형태의 케이프코드 지형이 거북을 가두고 방향감각을 잃게 만들기 때문이다. 만에 갇혀버린 거북은 계속해서 육지에 부딪힌다. 로리는 "찬물이 들어올 때쯤이면 거북이들은 갈 곳이 정말 없다"면서 "이들이 나갈 길을 찾는다 해도 대서양에서 들어오는 더 차가운 물을 마주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좌초되는 동물이 늘어나면서 구조 및 치료작업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 연말에 치료시설에 입원하는 거북은 통상 170마리 정도인데 최근에는 그 숫자가 500마리가 넘었다. 로리는 "이 거북이들은 대부분 아프고 움직이지도 않으며 거의 혼수상태인데다 폐렴이나 외상 등 여러 문제가 있다"며 "(동물들의 좌초 현상은) 사실상 대규모 재난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최남수의 ESG풍향계] '아리셀' 판결이 던진 과제

지난해 6월에 발생한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에 대한 1심 재판 결과가 지난 9월 23일에 나왔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위반한 이 회사

'종이제안서' 없앤다...서울시, 지자체 최초 '온라인 평가' 도입

서울시가 제안서 평가를 통해 계약상대자를 결정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에서 '제안서 온라인 평가제도'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제도는 전국 지

경기지역 수출 중소기업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어려워"

여전히 많은 수출기업이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절차 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회적 가치 1015억 창출

경기도가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이 지난해 총 1015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내 지방정부가 특정 정책사업의 환경적·경

브라질, COP30 앞두고 '열대우림 보전기금' 출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 의장국인 브라질이 열대우림 보전 주도에 나선다.6일(현지시간) COP30 홈페이지에 따르면 '세계 지도자 기후

"자연자본 공시...기후대응 위한 기업·정부 공동의 과제"

6일 서울 삼성동 웨스틴서울 파르나스에서 '녹색금융 시장의 확대와 다변화'를 주제로 열린 '2025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 세션3에서는 자연기반 금

기후/환경

+

'2035 NDC' 53~61% 감축안 탄녹위 통과...국무회의 의결만 남았다

2035년까지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2035 NDC)이 2018년 대비 53~61% 감축하는 안으로 굳어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10일 오후 3시 전

[COP30] 개방형 '배출권거래제' 논의...브라질-EU-中 등 연합체 결성

탄소배출권을 사고파는 탄소배출권 거래제 기준이 전세계적으로 통일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앞서 브

10년간 기후난민 2.5억명...절반이 올해 기후재난으로 발생

올해 전세계적으로 1억1700만명의 기후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난 10년간 발생한 전세계 기후난민 2억5000만명의 절반에 달한다.기후난민

ICJ “기후방치는 인권침해”… COP30 협상 지형 흔든 판결

국제사법재판소(ICJ)가 국가의 기후변화 방치를 인권침해로 볼 수 있다는 자문 의견을 내놓으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협상에 새

'종이제안서' 없앤다...서울시, 지자체 최초 '온라인 평가' 도입

서울시가 제안서 평가를 통해 계약상대자를 결정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에서 '제안서 온라인 평가제도'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제도는 전국 지

나흘만에 또 '괴물 태풍'...필리핀 230㎞ 슈퍼태풍에 '초토화'

태풍 '갈매기'에 이어 최대 풍속 230㎞/h에 달하는 슈퍼 태풍 '풍웡'이 필리핀을 또 강타했다. 풍웡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봉황(鳳凰)을 뜻하는 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