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듀! 2024] 가을폭염·습설...한반도 뒤흔든 '5대 기후뉴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6 08:10:02
  • -
  • +
  • 인쇄
▲11월말 내린 습설 (사진=연합뉴스)

'가을폭염'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올 한해는 우리나라 기상관측 역사상 '가장 더운 한해'였다. 폭염은 9월 추석연휴까지 이어졌고, 열대야도 최장기간을 기록했다. 겨울 문턱에서 온난화가 초래한 때이른 '습설'이 전국을 강타했다. 태풍은 운좋게 피했지만 기록적인 폭우도 발생했다.

이로 인해 농작물 피해가 엄청나게 발생했고, 과일과 채소의 가격은 역대급으로 치솟으며 밥상물가를 위협했던 한해였다. 이는 한해를 마감하는 현재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올해 한반도에서 어떤 기후재해들이 발생했는지 뉴스트리가 '기후재난 9대 뉴스'로 정리해봤다.

[1] 가장 더운 해···'가을폭염' 발생

올가을은 한반도 역사상 가장 더웠다. 가을 전국 평균기온은 16.8℃로, 평년 14.1℃보다 2.7℃ 높았다. 이는 기상기록이 시작된 1973년 이후 가장 높은 기온이다.

폭염은 9월중순 추석까지 꺾어지 않았다. 이 때문에 '가을폭염'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올 9월 전국 평균 일최저기온은 사상 처음으로 20℃를 넘었고, 2010년 이래 처음으로 9월에 폭염경보가 발령됐다. 폭염은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때 폭염주의보가 발령되고, 35℃ 이상이 2일 이상 지속되면 폭염경보가 발령된다.

서울은 1948년 이후 76년만에 9월 기온이 33℃가 넘는 폭염이 발생했다. 9월의 폭염일수도 6일로, 1908년 이래 가장 많았다. 전국 97개 기후관측지점 가운데 76%에 해당하는 74개 지점에서 9월 기온이 역대 신기록이 경신됐다.

(사진=연합뉴스)

[2]역대 최장 열대야···온열환자 3000명

올해는 열대야 일수가 예년보다 3배나 많은 20.2일에 달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역대 가장 늦은 열대야'가 나타났다. 서울은 9월 19일이 마지막 열대야였고, 춘천은 1966년 기상관측 이래 첫 9월 열대야가 발생했다.

폭염과 열대야로 온열질환자도 급증했다. 지난 9월 30일까지 올여름 전국 온열질환자 수는 총 3704명으로 4526명을 기록한 지난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많았다.

온열질환으로 산업재해를 당한 노동자도 최근 10년 이래 가장 많았다. 올 10월까지 열사병, 일사병 등 온열질환 산재 신청건수는 47건(사망 2건 포함)으로 지난 2015~2024년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2023년에도 온열질환 산재 신청건수가 29건(사망 3건)으로 전년대비 62% 증가했는데 올해는 이보다 더 늘어난 것이다.

[3] 기습폭우···물에 잠긴 남부지방

올가을 폭우도 역대급이었다. 가을장마와 제14호 태풍 '풀라산'이 겹치면서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올가을 강수량은 총 415.7mm로 '역대 5위'를 기록했다. 통상 9월 평균 강수량은 266.1mm인데, 올가을은 이보다 149.6mm 많았던 것이다. 

폭우는 남부지방을 집중 강타했다. 이 때문에 수확을 앞둔 벼가 쓰러지거나 배추 모종이 유실되는 등 농작물 및 축산시설 피해도 극심했다. 부산은 하루에 3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져 도로가 물에 잠기고 주택이 침수되는 일이 발생했다.

창원과 전북, 충정지역도 폭우 피해가 컸다. 창원은 평균 467㎜의 비가 내렸다. 특히 창원시 덕동에는 하루에 537.5㎜에 달하는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전북에서도 많은 비가 내리면서 침수와 농작물 넘어짐, 하천 범람, 토사 유출 등 피해가 잇따랐다.

10월에는 전반적으로 상층 기압골이 우리나라 주변을 자주 통과하며 비 오는 날이 많았다. 10월 강수일수는 평년 대비 5.1일 많은 11.0일로, 역대 1위였다. 

(사진=연합뉴스)

[4] 묵직한 '습설'···붕괴 사고 잇달아

올해는 첫눈부터 눈폭탄을 맞았다. 지난 11월 27~28일 이틀동안 내린 눈의 양은 40cm가 넘었다. 

서울, 인천, 수원 세 지점에서는 11월 27일에 11월 일최심 신적설(24시간 중 지표면에 쌓인 눈의 최대 깊이), 28일에는 일최심 적설(하루동안 실제 지표면에 쌓인 눈의 최대 깊이) 최곳값을 갈아치웠다. 기상관측이 시작된 1907년 이래 117년만에 11월 최대 적설량이다.

게다가 물기를 많이 머금고 있는 습설인 탓에 눈으로 인한 붕괴사고가 잇달아 발생했다. 습설은 구름대의 기온이 0℃에서 영하 10℃ 사이일 때 형성되는 눈으로, 일반 눈보다 무게가 2~3배 무겁다. 100평방미터(㎡) 기준으로 40㎝가 쌓이면 눈 무게는 4톤에 달한다. 이 때문에 비닐하우스 등 농업시설뿐 아니라 건물이 붕괴되는 등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11월 습설의 원인은 기후변화로 인해 한반도 주변과 북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때문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해역의 가을철 해수면 온도는 23.6℃로, 최근 10년 평균 21.1℃보다 2.5℃도 높았으며, 최근 10년 중 가장 높았다.

(사진=연합뉴스)

[5] 벚꽃없는 봄축제, 단풍없는 가을축제

기후변화로 벚꽃 개화 시기는 앞당겨지고 단풍이 물드는 시기는 늦어졌다.

올해 서울 벚나무 개화일은 역대 5번째로 빨랐다. 2013년 이전까진 서울에서 3월에 벚나무가 개화한 적이 없었지만 2014년에는 3월 28일 개화했다. 이후 3월 하순에서 4월초 사이에 벚꽃이 피고 있다.

이른 개화의 원인으로 온난화가 지목됐다. 3월 평균기온은 지난 51년 사이 2.6℃ 상승했고 4월 평균기온도 0.8℃ 상승했다. 이로 인해 여러 봄꽃이 이전과 달리 동시에 피는 '생태적 엇박자'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생태적 엇박자가 발생하면 꽃이 피는 시기와 곤충의 활동 시기가 엇나가면서 꽃가루와 꿀 등을 먹이로 삼는 곤충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고, 화분매개가 필요한 식물이 열매를 맺는 데도 어려움이 생긴다.

단풍은 늦더위로 인해 예년보다 늦게 물들었다. 설악산 단풍은 평년 시작일보다 6일, 지난해보다 4일 늦었다. 평년대로면 10월 17일쯤 절정에 이르지만, 올해 예상 절정 시기는 10월 24일로 7~10일 가량 미뤄질 전망이다. 오대산과 치악산도 각각 평년보다 7일, 4일 늦게 단풍물이 들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IPCC 보고서 개요에 韓 입장 반영

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