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 기여도가 3번째로 높은 아산화질소를 통제하지 않으면 '1.5℃ 목표' 달성 가능성이 더욱 희박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31일(현지시간) 유엔환경계획(UNEP) 산하 기후·청정대기연합(CCAC)이 발간한 '세계 아산화질소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80년부터 대기중 아산화질소가 40% 증가했고, 현재 추세대로면 2050년까지 30%가 더 오를 전망이다.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 메탄,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 삼불화질소와 함께 7대 온실가스로 불린다. 아산화질소의 온난화 기여도는 6%로 이산화탄소(64%), 메탄(16%) 다음이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난해 대기중 아산화질소 농도는 336ppb(10억분의 1)으로, 산업화 이전보다 125% 짙어졌다. 1934ppb를 기록한 메탄과 420ppm(100만분의 1)을 기록한 이산화탄소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이지만, 아산화질소의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의 300배에 이른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아산화질소의 증가세를 통제하지 않을 경우 금세기말 지구 평균기온이 파리기후변화협정 목표를 2배 뛰어넘은 3℃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이미 전세계적으로 제도화된 이산화탄소 규제나,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2030년 메탄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감축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메탄서약'과 달리 아산화질소는 감시망에서 벗어나 있어 '잊혀진 온실가스'로 불린다.
다만 아산화질소는 조금만 관리해도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아산화질소는 질소비료와 동물분뇨 등 농업과 나일론같은 섬유나 합성 석유화학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된다. 이렇게 인간활동으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가 전체의 40% 비중이고,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가 60%를 차지한다. 따라서 인간활동으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만 줄여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보고서는 "글로벌 기후위기 완화 노력은 이산화탄소와 메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아산화질소를 배제하게 되면 기후목표 및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이 훨씬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국제사회에 관련 대응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