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온실가스 주범 '냉매' 비법정대상까지 실시간 관리한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9-11 10:36:17
  • -
  • +
  • 인쇄
▲냉매 기기에 전자표지(QR코드)를 부착한 모습 (사진=서울특별시)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온실가스 주범 '냉매'를 비법정대상까지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11일 서울시는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냉매정보관리시스템 관리 대상을 기존 법정관리대상인 20RT에서 3RT 이상으로 확대하고, 수기로 관리하던 방식을 전산화한다고 밝혔다. 1RT는 0℃의 물 1톤을 24시간동안 얼음으로 냉각할 때 드는 열량이다.

대기환경보전법 제76조에 따른 냉매 법정관리대상은 20RT 이상인 기기만 해당된다. 하지만 서울시는 냉매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이산화탄소에 비해 최대 1만1700배까지 온난화를 유발하는 점으로 미뤄볼 때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 서울시 산하 75개 기관 217개 시설에서 보유중인 1일 냉동능력 3RT 이상 건물 부문 냉매 사용기기 2874대에 대해서도 관리를 시작한다.

아울러 냉매 관리에 있어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전산화도 추진한다. 기존에는 냉매관리시설 담당자가 냉매 충전·회수 등의 변동사항을 수기로 작성했다. 또 1년에 한번씩 냉매관리기록부를 제출하는 시차로 인해 데이터 상시관리 및 일관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서울시는 냉매 기기에 냉매정보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전자표지(QR)를 부착해 냉매 기기 사용정보를 등록한다. 냉매관리시설 담당자는현장에서 편리하게 모바일 기기로 냉매의 충전·회수·처리 이력을 기록할 수 있고, 서울시는 전체 냉매에 대한 충전·회수량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냉매는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2.5%에 불과하나 온난화기여도는 24%"라며 "이번 전산화를 계기로전체냉매 현황과 충전․회수량 등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전세계 산호초 84% '하얗게 변했다'...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으로 전세계 산호초 84%에서 백화(白化)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미국 산호초감시기구(CRW)는 지난 2023년 1월 이후 최소 82개국 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