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메로나' 해외서 잘 팔리네...상반기 매출 작년 3배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7 11:11:41
  • -
  • +
  • 인쇄
▲식물성 메로나 제품 (사진=빙그레)

수출전용으로 개발한 빙그레 '식물성 메로나'가 올 상반기 유럽 매출액이 지난해의 3배를 넘어섰다. 

27일 빙그레 관계자는 "2023년 5월부터 네덜란드, 독일, 영국 등 유럽에 수출하기 시작한 '식물성 메로나'가 인기가 높아지면서 올 상반기 매출이 급격하게 상승해 지난해 매출액의 3배가 넘었다"고 밝혔다. 

'식물성 메로나'는 유성분을 모두 식물성 원료로 대체해 기존 메로나 맛을 구현한 수출 전용 제품이다. 유럽은 수입 유제품에 대해 높은 관세를 적용한다. 이에 빙그레는 식물성 메로나를 2023년 개발하고 유럽 중심으로 수출하기 시작했다.

수출 초기에는 메인스트림 채널 입점과 아시안 마트 체인을 중심으로 판매하다가 올 5월부터 네덜란드 주요 메인스트림 유통채널인 알버트 하인(Albert Hejin)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또 독일의 고 아시아(Go Asia), 네덜란드의 어메이징 오리엔탈(Amazing Oriental), 영국의 오세요(Oseyo) 등 주요 아시안 마트 체인망으로도 판로를 넓혔다.

빙그레는 호주에서도 '식물성 메로나' 판매를 시작했다. 현재 울워스(Woolworths), 콜스(Coles) 등 호주의 메인스트림 채널에서 식물성 메로나를 판매하고 있으며, 올해말 코스트코(Costco)에 멜론, 망고, 코코넛 맛으로 구성된 팩 단위 메로나 제품도 판매할 예정이다. 빙그레는 7월부터 캐나다 현지 메인스트림(Mainstream) 시장에서 메로나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빙그레는 올 하반기부터 동유럽과 북유럽 지역으로도 넓혀 메로나 판매에 집중할 계획이다. 빙그레는 오는 10월 개최되는 '프랑스 파리 식품 박람회'에 참가해 식물성 메로나의 제품 인지도를 높이고 유럽 내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빙그레 관계자는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메로나는 국내를 대표하는 아이스크림으로 현재 전세계에 수출되고 있다"며 "식물성 메로나 등 현지화 맞춤 제품을 개발해 다양한 국가로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