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ESG가 핵심 이슈로 떠오른 것은 최근 3~4년의 일이다. ESG는 이젠 기업 경영의 새로운 틀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기업들은 속속 관련 체계를 갖추고 활발하게 ESG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국 기업의 ESG 경영은 어느 정도 수준에 와 있을까? 형식적인 면에서는 모양새를 갖춰가고 있지만, 내실은 아직 '불합격'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ESG 경영의 전반적인 성적표를 들여다보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18개국의 52만여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한국 기업의 ESG 점수는 11.50점으로 글로벌 평균치인 20.66점을 크게 밑돌았다.
부분별로 보면, 지배구조(G)가 전체 평균치의 44.5%(13.28점)에 불과해 가장 저조했고, 다음으로 환경(E)이 51.2%(6.47점), 사회(S)가 67.5%(13.28점)로 집계됐다. 세계 수준과 큰 격차가 있다. 실제로 한국 기업들의 ESG 등급은 부진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국ESG기준원이 공표한 2023년 등급을 보면 가장 높은 S등급을 받은 기업은 한 곳도 없다. A+ 기업도 전체의 2.4%인 19개에 불과하다. 특히 '불합격'이라고 볼 수 있는 B, C, D 등급은 전체 상장사 791개 중 459개로 10개 중 6개에 달하고 있다.
세부항목별로 살펴보면 규모가 큰 기업은 ESG 경영의 형식을 갖춰가고 있지만 작은 기업일수록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상 ESG 경영을 얘기할 때 우선 점검해보는 것은 ESG위원회의 설치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발간 여부다. 먼저 ESG위원회의 경우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60%가 이를 둔 반면 기업집단에 들어가지 않은 기업의 설치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 상황은 마찬가지. 자산 규모가 2조원 이상인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보고서 발간 비율은 56%인 데 비해 2조원 미만 기업의 비율은 5%로 매우 낮다. 자산 규모가 작을수록 보고서 발간에 엄두를 못내고 있다.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성과가 좋지 않은 사안도 있다. 대표적인 항목이 탄소중립 목표의 수립. 전체 상장사 중 13.6%인 126개 기업만이 이 목표를 세운 상태다. 이 또한 자산 규모가 작을수록 더 미흡하다. 다양성과 포용성으로 불리는 남녀평등 이슈도 명함을 내밀기 어려운 수준이다.
딜로이트의 분석을 보면 2023년 기준으로 이사회 내 여성 비율은 8.8%로 글로벌 수준인 23.3%를 크게 하회하고 있다. 이는 조사 대상 50개국 중 최하위 5개국에 해당한다. 또 여성 이사회 의장 비율이 2.3%, 여성 CEO 비율이 2.9%에 불과하다. 지배구조의 경우 상장법인의 기업지배구조보고서 핵심 지표 평균 준수 비율(2024년 기준)은 49.7%에 그치고 있다. 특히 집중투표제 채택이 2.9%, 사외이사의 이사회 의장 선임 13.0%, 현금배당 관련 예측 가능성 제공이 16.6%로 저조하다.
최근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대응은 어떨까? 관심을 가지고 대응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기는 하다. 문제는 접근 방식이 외국 기업과 큰 차이를 보인다는 데 있다. 해외 기업들은 생물다양성 손실을 복원시키는 방안을 경영 전략 안에 포함해 추진하는 특징을 보인다. 자연이 훼손된 것보다 더 많이 회복시키겠다는 '네이처 포지티브'에 시동을 건 세일즈포스나 삼림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제품을 생산하겠다고 선언한 제지업체 인터내셔널 페이퍼가 대표적 예이다. 이에 비해 한국 기업들은 전략적 고려없이 나무심기나 천연기념물 보호 등 사회적 책임 활동의 하나로 생물다양성 이슈를 다루는 모습이다. 또 ESG 중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에 대한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기업은 환경을 가장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ESG 평가기관들은 지배구조에 가장 큰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다. 평가기관이 상대적으로 더 객관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면 기업으로서는 아무래도 부담스러운 지배구조 문제를 다루는 데 소극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종합해보면, 한국 기업의 ESG 경영은 아직 합격점을 줄 수 있는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 '구력' 자체가 얼마 되지 않은 탓일 수도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경영혁신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는 키우는 ESG의 핵심을 놓치고 있고 이로 인해 ESG의 본질적이고 적극적인 착근(着根) 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ESG는 경영과 가치사슬 전반에 환경을 보호하고 사람을 돌보는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을 내재화해서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 데 본질적 목적이 있다. 한국 기업이 진정성을 가지고 이 방향으로 시선을 바꾸고 실천해 나가면 ESG 경영의 수준도 점차 선진화돼 나아갈 것으로 기대해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