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심 대기중에 둥둥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가운데 폴리에틸렌(PE)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9월~올 2월까지 서초구 양재동 연구원 옥상에서 월 1회 포집한 미세먼지 시료를 라만 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크기가 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는 대기 1㎥당 71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1년 중 대기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은 달은 12월로, 대기 1㎥당 평균 개수가 122개에 달했다.
연구원은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가운데 처음으로 2021년 라만분광기를 활용한 미세플라스틱 분석시스템을 구축했다. 라만분광기를 활용한 미세플라스틱 분석시스템은 20㎛ 이하의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5㎛ 이상 미세먼지를 분석했다.
서울도심 공기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의 종류는 폴리에틸렌(PE)을 비롯해 폴리스타이렌(PS)·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프로필렌(PP)·폴리우레탄(PU)·폴리염화비닐(PVC)·폴리아마이드(PA)·아크릴 등 8종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비율이 가장 높은 소재는 PE였고, 그 다음으로 PS였다. PE는 비닐봉지, 일회용 포장재 등 각종 용기에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이고, PS는 식품용기, 컵 등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다.
가을철인 9∼11월에는 PE-PS-PP 순으로 많이 검출됐고, 겨울철인 12∼2월 사이에는 PE-PS-PU 순으로 많이 검출됐다. 앞으로 연구원은 미세플라스틱 분석 크기를 1㎛까지 확대하고 봄과 여름철 모니터링을 통해 계절별 미세플라스틱 발생 특성까지 파악할 계획이다.
박주성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그동안 미세플라스틱 분석은 대부분 해양, 토양 환경에 편중돼 도심 대기 미세플라스틱 조사·연구 결과는 부족하다"며 "앞으로 대기질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분석 방법을 표준화하고 생활밀착형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