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급된 크레딧 사고파는 거래량 '쑥쑥' 성장
탄소저감 실적을 사고파는 '탄소크레딧'처럼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재활용한 실적을 사고파는 '플라스틱 크레딧'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올 11월 부산에서 최종안이 채택될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앞두고 '플라스틱 크레딧'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크레딧' 시장은 지난 2019년 필리핀에서 플라스틱 크레딧 거래플랫폼 'PCX'가 설립된 이듬해부터 2022년까지만 해도 거래량이 연간 1만톤 수준에 머물렀다. 하지만 2023년에 거래량이 1만9244톤으로 2배 가까이 껑충 뛰어오르더니 올 1월~4월까지 거래량이 지난해 거래량을 훌쩍 넘어선 2만4008톤에 이르렀다. 지금 추세대로 간다면 연말까지 거래량은 지난해의 서너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플라스틱 크레딧'은 재활용 원료의 품질과 지역사회 기여도 등에 따라 폐기물 1톤당 100~8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올 4월까지 거래량 2만4008톤인 점을 감안하면 올들어 형성된 시장규모는 최대 1920만달러에 달한다. 연말까지 이 규모가 서너배 커질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플라스틱 크레딧'은 전지구의 골칫거리인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하고 재활용하자는 취지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재활용하면 이를 입증하는 인증서를 발급해준다. 2013년 브라질 비영리단체 비브리오(BVRIO)가 처음 이 개념을 제시했지만 별반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PCX 플랫폼이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거래가 시작됐다. PCX는 전세계 유일한 플라스틱 크레딧 거래플랫폼이다.
최근 1년 사이에 플라스틱 크레딧 거래시장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영향이 가장 크다. 175개국이 참여하는 이 국제규제가 확정되면 법적구속력이 생기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를 위반하면 민사상은 물론 형사상 책임을 져야 한다. 협약의 핵심적인 내용은 플라스틱 생산량 감축도 있지만 플라스틱 생애 전주기 관리가 포함돼 있다. 즉 생산한 플라스틱에 대한 폐기까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고 포장하고 유통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기업들은 '플라스틱 크레딧'으로 플라스틱 폐기물 저감에 나설 수밖에 없어 보인다. 당장 모든 제품의 플라스틱을 다른 소재나 재생원료로 대체할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네슬레와 펩시코, 벤틀리, 로레알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플라스틱 크레딧을 구매하고 있다.
플라스틱 크레딧에 대한 기업들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플라스틱 수거·재활용을 통해 크레딧을 창출하는 프로젝트들도 봇물처럼 늘어나고 있다. 현재 '플라스틱 크레딧' 인증서를 발급하는 PCX와 베라, 엠파워, 제로플라스틱오션, 비브리오, 리퍼포스 등 6개사에 등록된 프로젝트는 수백개에 이른다. 일례로 베라는 총 81개 업체가 95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고, PCX는 지난해 15개 업체가 28개 프로젝트를 등록했다.
여기에 올 2월 세계은행까지 합세했다. 세계은행은 7년 만기의 1억달러 규모 '플라스틱 크레딧' 연계 채권을 발행했다. 투자자들에게는 매년 1.75% 이자와 함께 향후 '플라스틱 크레딧' 발급량에 따른 추가 보상을 제공하기로 했다. 세계은행은 채권 발행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가나와 인도네시아의 플라스틱 수거와 재활용에 필요한 인프라를 확충하는데 투입할 예정이다. 10년간 플라스틱 폐기물 약 23만톤을 수거하고 이 가운데 18만톤을 재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실적을 '플라스틱 크레딧'으로 만들어 플라스틱 저감 실적이 필요한 기업에 판매하겠다는 구상이다. '플라스틱 크레딧' 판매수익금은 플라스틱 수거와 재활용을 고도화하는데 다시 투입한다.
미국 기후테크 지주사이면서 한국에 거점을 두고 ABC도 '플라스틱 크레딧' 프로젝트 '리플'(RePL)을 진행하고 있다. ABC는 리플을 통해 8만4000톤 분량의 플라스틱 크레딧을 베라를 통해 발급받을 예정이다. 이 회사의 권오정 지속가능혁신팀 리더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최종성안이 나오면 기업들은 플라스틱 대체소재를 개발하거나 폐기물을 수거·재활용할 수밖에 없다"면서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우선 플라스틱 크레딧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해외시장에서는 플라스틱 폐기물 상쇄를 위한 '플라스틱 크레딧'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 시장이 아직 불모지나 다름없다. 하지만 플라스틱 생산량과 폐기물이 많은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재활용 인프라가 미흡한 상태이므로 크레딧에 대한 수요가 증폭될 가능성이 높다는게 업계 전망이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1인당 플라스틱 배출량은 208.3kg으로 세계 1위다.
권오정 팀리더는 "앞으로 4개월 후에 부산에서 플라스틱 국제협약 최종성안이 채택될 것이므로 플라스틱 저감에 대한 대책은 더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가 됐다"면서 "플라스틱 저감을 비용으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이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