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와이주가 멸종위기에 처한 희귀 조류를 지키기 위해 수백만 마리의 모기를 풀어놨다.
영국 가디언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하와이 주정부는 모기가 옮기는 말라리아 때문에 멸종위기에 처한 '하와이꿀빨이새'를 보호하기 위해 '불임' 모기를 방사했다.
꿀빨이새는 아름다운 노랫소리와 풍부한 다양성을 지닌 조류다. 이들은 곤충 및 과일, 꿀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데 적응한 특별한 부리를 지녔으며 식물을 수분시키고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는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와이에는 이런 꿀빨이새가 50종 서식했지만 이 가운데 33종은 이미 멸종했고, 현재 남아있는 17종도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하와이에 말라리아가 유입된 것은 1800년대 유럽·미국 선박을 타고 들어온 모기에 의해서다. 이 새들은 말라리아에 대한 면역이 없어서 단 한번만 말라리아 병원체를 옮기는 모기에 물려도 죽을 수 있다. 가령 이위('i'iwi)라고도 불리는 진홍꿀빨이새는 말라리아 감염 모기에 물리면 사망률이 90%에 달한다.
이 때문에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일부 종은 1년 이내에 멸종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하와이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아키키키'('Akikiki)라고 불리는 카우아이크리퍼(Kauaʻi creeper)는 2018년 450마리에서 2023년 5마리로 감소했다. 카우아이섬에는 단 1마리만 남아있다.
대부분의 꿀빨이새는 해발 1200~1500m 이상 고지대에 서식하고 있어 추운 환경에서 살지 않는 모기와 만날 일이 없었다. 그러나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모기가 더 높은 고도로 이동하면서 이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하와이 주정부는 불임 박테리아를 보유한 수컷모기 25만마리를 매주 헬리콥터로 방사하고 있다. 현재까지 방사된 불임 모기는 1000만마리에 달한다. 이 모기는 자연에 있는 박테리아를 이용해 모기 알의 부화를 막는 '양립불가능한 곤충기술'(IIT)을 적용시킨 개체다. 중국과 멕시코에서 성과를 거둔 바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에서도 이 기술이 시행되고 있다.
암컷 모기는 한 번만 짝짓기를 하므로 시간이 지나면 전체 개체수가 줄어든다는 것이 그 원리다. 대부분의 곤충은 월바키아(Wolbachia)라는 박테리아를 보유하는데, 월바키아는 같은 계통의 박테리아를 지닌 짝과 함께 해야만 생존 가능한 자손을 낳을 수 있다. IIT 기술이 다른 모기 종들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 연구해온 나이젤 비베 미국 퀸즈랜드대학 박사는 "(IIT는) 특히 생물종 보존 등의 측면에서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낫다"며 "섬에 적용하기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5월 동아프리카에서도 말라리아 모기를 없애기 위해 유전자 변형(GMO) 수컷 모기를 방사했다. 야생 암컷 모기들이 GMO 수컷 모기와 짝짓기를 한 뒤 낳은 암컷 유충들은 성충이 되기전에 모두 폐사한다. 수컷 유충은 문제없이 성장하지만 사람을 물지 않아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고, 암컷 개체수가 줄기 때문에 군집이 붕괴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