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메탄과 함께 강력한 온실가스로 꼽히는 '아산화질소(N2O)' 배출량이 인간의 농업활동으로 지난 40년동안 배출량이 40% 이상 늘어났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보스턴칼리지 연구진이 이끄는 글로벌 탄소프로젝트 연구팀은 12일 육상과 해양 및 담수, 대기 시스템의 질소 순환 모델과 1980~2020년까지 측정치를 이용해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자연배출량은 대동소이했지만 인간활동으로 인한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40%(약 300만톤)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2020~2022년까지 3년간 대기중 아산화질소 농도 증가율은 이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시작된 1980년 이래 가장 높았다.
오존층을 파괴하는 아산화질소는 그동안 농업에서 사용되는 질소비료와 동물분뇨 때문에 배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농업분야의 아산화질소 배출은 지난 10년간 인간활동으로 인한 아산화질소 총배출량의 74%를 차지했다. 2020년 아산화질소 농업 배출량은 800만톤에 달했다. 농경지 질소 유출이 증가하면 내륙 수역과 강이 오염되고, 호수, 연못, 해안생태계의 아산화질소 배출이 증가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논문 교신저자인 보스턴칼리지 한친 톈 교수는 "2022년 대기 중 아산화질소 농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5% 높은 336ppb에 달했다"며 "이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가장 비관적인 시나리오보다 높은 수치"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농업 분야의 관행을 개선해 질소비료와 동물분뇨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아산화질소 배출과 수질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톈 교수는 "파리 기후변화 협정에서 정한 온도 상승 2℃ 이내 억제 목표를 이루려면 인간 활동으로 인한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며 "대기 중 아산화질소 제거 기술이 없기 때문에 배출량을 줄이는 게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001년 출범한 글로벌 탄소 프로젝트는 주요 온실가스 배출과 영향, 대책을 연구하는 기구며, 이번 연구에는 보스턴칼리지와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등 세계 15개국 55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구시스템 과학 데이터'(Earth System Science Data)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