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버려진 페트병으로 약을?...타이레놀 성분으로 전환 성공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4 11:10:08
  • -
  • +
  • 인쇄
▲플라스틱 쓰레기를 약이나 다른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아이디어를 보여주는 그림 (자료=Nature Chemistry)

매년 3억5000만톤 넘게 버려지는 플라스틱병으로 해열진통제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생수병이나 포장재로 쓰인 폐플라스틱이 고온과 고압없이 대장균 발효만으로 타이레놀 성분으로 바뀌는 기술이 개발됐다.

영국 에든버러대 연구진은 음료병으로 흔히 사용되는 페트(PET)에서 얻은 테레프탈산(TPA)을 유전자 조작 대장균으로 발효해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고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핵심은 세균 내부에서 자연에는 없는 화학반응 '로센 재배열(Lossen rearrangement)'을 실현한 점이다. 기존에는 유기합성 실험실에서만 가능한 반응이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인산염이 촉매 역할을 해 박테리아 안에서도 반응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페트병에서 테레프탈산을 추출하고, 이를 특수한 하이드록사메이트 화합물로 전환했다. 이 기질은 대장균 세포 내에서 파라아미노벤조산(PABA)으로 바뀌고, 여기에 추가적인 대사 과정을 통해 24시간 이내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완성된다.

이 전환 반응은 실온에서 진행됐고, 고비용 장비나 고온 공정이 전혀 필요하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 과정을 "사실상 탄소배출이 없는 생물 기반 업사이클링"이라고 표현했다. 수율은 92%에 달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버려지는 플라스틱병이 약 공장의 원료가 될 수 있다. 특히 아세트아미노펜은 전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해열·진통제 성분으로, 연간 수요가 수십억정에 이른다. 연구진은 "페트병이 단지 재활용이 아니라 치료제로도 탈바꿈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싱가포르국립대 매튜 욱 장 교수는 "합성화학과 생물공학은 원래 분리된 영역이었지만, 이번 연구는 그 경계를 무너뜨렸다"며 "미생물이 플라스틱을 유용한 화합물로 바꾸는 시대가 왔다"고 평가했다.

향후 과제는 공정 최적화와 산업적 규모 확장이다. 연구진은 "생분해 효소와의 결합, 페트 자동분해 기술과의 연계 등을 통해 실제 공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 상용화가 된다면, 버려지는 플라스틱 병으로 감기약을 만든다는 시대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에 6월 23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기후/환경

+

기후변화로 美 북동부 폭풍 '노이스터' 위력 17% 증가

지구온난화로 미국 북동부 지역의 폭풍 위력이 증가하고 있다.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의 기후학자 마이클 만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1940년 이후 올

해변을 지켜야 vs 해변가 집을 지켜야...해수면 상승으로 '딜레마'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미국 곳곳의 해변이 조금씩 바다에 잠기고 있다. 이 과정에서 6세기 로마법에 뿌리를 둔 '공공신탁' 개념이 다시 주목

맥주병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플라스틱병보다 많은 이유

유리병에서 플라스틱병보다 5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프랑스 식품환경산업안전보건청(ANSES)은 생수, 콜라, 맥주, 와인이 담긴 플라스틱병과

'동토의 북극' 옛말되나?...겨울에 물웅덩이 생기고 새싹 돋아

한겨울에 눈이 뒤덮여있어야 할 북극에서 물웅덩이가 생기고 눈이 녹은 땅위에서 새싹이 돋는 희귀한 광경이 연출되고 있다. 이에 학자들은 북극의 겨

김성환 환경장관 "도전적·합리적 탄소감축 목표 수립하겠다"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은 '도전적이면서 합리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겠다고 밝혔다.김성환 장관은 22일 취임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2035 국

'극한호우'에 농경지 2.9만㏊ 침수되고 가축 175만마리 폐사

서산과 광주, 산청 등을 물바다로 만들었던 이번 집중호우로 경작지 2만9448헥타르(㏊)가 물에 잠겼다. 이는 축구장 4만1000여개에 달하는 면적이다.농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