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층을 파괴하고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는 수소염화불화탄소(HCFC) 농도가 30년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사회가 한마음으로 오존층을 파괴하는 유해물질에 대해 사용을 금지한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팀은 2개의 국제 대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대기중 HCFC 농도가 2021년 정점을 찍은 후 대폭 감소했고, 이로 인해 HCFC로 인한 오존층 파괴 가능성이 75% 떨어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HCFC는 염소를 포함한 가스로, 오존층을 파괴하는 유해물질이다. 1980년대 과학자들은 태양의 자외선과 방사선을 막아주는 오존층이 파괴되면서 지구 생명체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알렸다.
이에 전세계 각국 정상들은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된 염화불화탄소(CFC) 생산을 중단하는 '몬트리올 의정서'를 체결했다. CFC는 프레온 가스로 널리 알려져 있는 물질로, 냉장고와 에어컨의 냉매를 비롯해 발포제, 분사제, 세정제 등으로 폭넓게 사용돼 왔다.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가 체결된 이후 1992년에 CFC의 대체물질인 HCFC 사용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전세계적으로 HCFC 사용도 금지되기 시작했다.
이 논문의 주요 저자인 루크 웨스턴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원은 "기후변화에 대한 HCFC의 기여는 2021년에 약 0.05℃를 기록하고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며 "이 추세대로 간다면 대기중 HCFC 농도는 2080년까지 1980년대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미국 환경조사국 기후캠페인 책임자 아비사 마하파트라는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려는 몬트리올 의정서의 노력이 무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준 결과"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잡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