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그린 클레임 지침' 무산…정치적 이유로 좌초되는 첫 사례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4 15:59:01
  • -
  • +
  • 인쇄

유럽연합(EU)이 기업의 허위 친환경 마케팅을 막기 위해 추진해온 '그린 클레임 지침(Green Claims Directive)' 입법이 무산될 처지다.

지난 2023년 3월 처음 제안된 이 법안은 '에코' '친환경' 등 근거없는 홍보 문구를 규제하고, 기업이 주장하는 환경성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검증되도록 요구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지난주 유럽의회 제1당인 유럽국민당(EPP)이 공개서한을 통해 철회를 요구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이같은 요구에 유럽연합집행위원회 대변인 마치에이 베레스테츠키는 지난 20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현 상황에서 집행위는 '그린 클레임 제안' 철회를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이 사안을 놓고 이사회·의회·집행위 3자 협상을 앞둔 시점에서 나온 돌발 발표였다.

집행위는 뒤이어 낸 입장문에서 그린 클레임 지침을 철회하는 배경에 대해 "집행위의 '규제 간소화 기조'에 어긋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3000만개에 달하는 초소형 기업(micro-enterprise)이 규제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문제를 들었다.

그러나 집행위의 이같은 입장 번복은 그동안 법안 추진에 참여해온 각국 정부와 유럽의회에 큰 혼란을 일으켰다. EU측 협상 대표인 산드로 고지는 "의회는 협상 중단을 요청한 적이 없다"며 "협상 지속 여부는 특정 정당이 아닌 공식 보고자들의 권한"이라고 강조했다.

정치적 압박 속에서도 유럽의회는 해당 법안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유럽연합 조사에 따르면 EU 내 환경 관련 상표·문구의 53%는 신뢰할 수 없거나 모호했으며, 40%는 전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안은 자발적 환경 주장을 하는 모든 기업에 대해 과학적 근거 제시와 독립적인 제3자 검증을 의무화하고, 환경 라벨도 EU 차원 인증 체계가 있는 경우에만 허용토록 하고 있었다. 이는 기존 소비자 보호법과 병행되는 장치로 '친환경' 등의 일반 문구를 넘는 세부 주장을 사전에 심사하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집행위의 입장 변화 직후, 2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정부도 돌연 "제안안 채택에 반대하며 철회를 지지한다"고 이사회 의장국에 공식 통보하면서 협상은 완전히 중단됐다. 결국 24일로 예정됐던 협상은 무산됐다.

이번 사태는 유럽연합이 오랜 협의 끝에 출범시킨 소비자 친환경 정보 개선 전략의 핵심 법안이 정치적 이유로 좌초되는 첫 사례다. 그린 클레임 지침은 앞서 지난해 1월 통과된 '그린워싱 금지 지침'의 보완 입법으로, 향후 '제품의 수리권 보장', '에코디자인 기준 강화'와 함께 순환경제 전환의 핵심 축이 될 예정이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하나금융, 금융권 최초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 발간

하나금융그룹은 지속가능성 의무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최초로 '2024 지속가능성 KSSB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보고서

농심 조용철 부사장,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

농심은 조용철(63) 영업부문장 부사장을 12월 1일부로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했다고 21일 밝혔다.신임 조용철 사장은 내년 3월 열리는 정기주주총

기후/환경

+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지금도 난리인데...2100년 '극한호우' 41% 더 강력

탄소배출이 계속 늘어나면 2100년에 '극한호우'가 41% 더 강력해질 것이라는 예측이다.미국 텍사스A&M대학교 핑 창 박사연구팀은 기존 기후모델보다 4

美 민간 기후데이터 시장 '세력확장'...정부 관련조직 축소탓

미국 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민간 기후데이터 기업들이 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22일(현지시간) 글로벌 분

4만년 잠들었던 알래스카 미생물 '부활'…기후위기 '새 변수'

알래스카 영구동토층에서 4만년간 잠들어있던 미생물이 온난화로 인해 되살아나면서 기후위기의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22일(현지

[COP30] 화석연료에 산림벌채 종식 로드맵도 빠졌다

브라질 벨렝에서 지난 2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최종 합의문에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종식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