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교체 이전 떼죽음에 군집 전체 붕괴
가을·겨울이 따뜻하면 꿀벌들이 겨울나기를 멈추고 일을 시작하다 '과로사' 하기 때문에 기후위기가 꿀벌의 생존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키르티 라자고팔란 조교수 연구팀은 온난화가 지금처럼 계속될 경우 금세기말에 이르면 꿀벌이 생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가을·겨울의 날씨가 더울수록 꿀벌의 생존율이 급감하기 때문이다.
꿀벌은 겨울이 되면 벌집 안에서 여왕벌을 중심으로 뭉쳐 동그란 모양의 '봉구'를 형성해 영하의 추운 날씨를 버텨낸다. 그러다 봄이 와 낮 기온이 10℃를 넘어서면 일벌들이 꽃꿀을 따러 벌집 밖으로 나선다. 하지만 최근 기후위기로 가을·겨울 기온이 오르면서 일벌이 쉼없이 꽃꿀을 따러 나서다 '과로사'하는 현상이 잦아지고 있다.
온난화로 일벌이 꽃꿀을 찾아나서는 '채집비행' 시간이 늘어날수록 일벌의 수명은 더 빠르게 줄어든다. 이는 꿀벌 군집의 존립 자체를 위협한다. 꿀벌 군집은 겨우내 새로운 꿀벌 세대가 자라나 이듬해 봄이 오면 해묵은 세대를 대체하는데, 월동시기 과로에 시달리는 바람에 일벌들이 이 과도기까지 버텨주지 못하면서 세대 교체가 제대로 일어나기도 전에 군집이 붕괴해버리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통상 2만~2만5000마리가 서식하는 벌집에 꿀벌 개체수가 5000~9000마리 수준으로 떨어지면 군집이 붕괴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같은 현상은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해진다는 전망이다. 연구팀의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탄소배출이 지금과 같은 추세로 지속될 경우 미국 워싱턴주 리치랜드 지역에서 봄철 벌집 속 꿀벌 개체수는 2050년께 9000마리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2100년에 이르면 5000마리선도 붕괴돼 사실상 꿀벌들의 생존이 불가능할 지경에 이를 것으로 연구팀은 내다봤다. 이에 연구팀은 인위적이나마 벌집을 냉장 보관하는 방식으로 꿀벌 개체수를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실제로 같은 워싱턴주라고 하더라도 북부 산악지대인 오막에서의 꿀벌 개체수는 리치랜드에 비해 2배 높았다. 또 연구팀이 냉장 보관된 벌집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시행한 결과, 금세기 말에 이르러도 냉장 벌집의 봄철 개체수는 1만5000마리 수준으로 유지됐다.
꿀벌은 과채류, 견과류 등 전세계 농작물의 75%의 꽃가루받이를 책임지고 있어 기후위기로 위협받는 식량안보와 직결돼 있다.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인 글로리아 드그란디-호프만 박사는 "이번 시뮬레이션은 영양실조, 병원균, 살충제 없이 가을·겨울의 기온 조건만으로도 군집의 세대 구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각국이 꿀벌 살리기 대응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