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7.7% 감소 23만명대
전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기록적인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면서 지난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 통계'와 '2023년 12월 인구동향'을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24만9200명)보다 1만9200명(7.7%) 줄었다. 지난해에 이어 또 역대 최저 기록이다.
2016년(40만6200명)까지 40만명을 웃돌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17년(35만7800명) 40만명을 밑돈 데 이어 2020년(27만2300명)과 2022년(24만9200명) 들어 각각 30만명, 25만명 선이 무너졌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작년 0.72명이었다. 전년(0.78명)보다 0.06명 줄며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합계출산율은 2015년(1.24명)을 정점으로 8년째 하락세다. 2021·2022년 각각 0.03명이었던 하락 폭도 지난해 2배 수준으로 커지는 등 최근 3년중 감소폭이 가장 커 하락 속도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실제로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1년 전보다 0.05명 감소하며 0.70명선마저 붕괴됐다. 사상 첫 0.6명대 분기 출산율이다. 4분기 출생아 수는 5만2618명으로 1년전보다 3905명(6.9%) 줄었다. 작년 12월 출생아는 1만6253명으로 1년전보다 643명(3.8%) 감소했다.
이같은 한국의 저출산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비슷한 사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심각한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00명에 못 미치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전세계에서는 홍콩(0.77 명)에 근소한 차이로 뒤지는 '꼴찌에서 2번째'다.
여성의 첫째아 출산연령(32.6세)도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출산율 감소세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서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30∼34세 산모 비중은(66.7%)은 전년보다 6.8% 줄어 전 연령대 중 감소 폭이 가장 컸고, 25∼29세 산모 비중(21.4%)은 2.6% 줄어 뒤를 이었다. 증가세를 보이던 40∼44세 산모 비중(7.9%)은 0.1% 줄었다.
정부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혼인 건수가 늘어난 점을 향후 출산율 개선 요인으로 꼽고 있지만, 최근 딩크족 증가 등 심화하는 출산 기피 현상으로 미뤄볼 때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한편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50년가량 지난 2072년에는 지난해 말 기준 5144만명이던 인구가 3622만명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이때가 되면 중위 연령(전체 인구 중 중간 연령)은 63.4세로,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환갑을 넘는 '노인국가'가 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