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우리나라 가뭄일수는 31일이었다. 가뭄이 가장 심했던 지역은 전남을 비롯한 남부지역이었고, 중부지역은 상대적으로 가뭄일수가 적었다. 다만 한반도 가뭄현상은 기후변화로 점차 늘어나며, 지역별로도 편차가 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상청이 전국 167개 시·군의 가뭄현황과 전국·지역평균 가뭄발생일수 등을 분석해 26일 발표한 '2023년 연 기상가뭄 발생 특성'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평균 가뭄발생일수는 31.4일로, 1974년 가뭄 일수를 분석한 이래 역대 27위로 많았다. 남부지방 가뭄 발생일은 36.6일이었고, 중부지방은 26일, 제주는 29.6일이었다.
기상가뭄은 이전 6개월 누적강수량을 토대로 산출하는 '표준강수지수'가 -1 이하인 상태를 말한다. 지역별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강수량이 평년대비 65% 이하면 표준강수지수가 -1 이하로 떨어진다.
남부지방은 2021년 겨울철 강수량 부족으로 2022년 봄부터 가뭄이 발생했다. 가뭄은 2022년 여름 남부지방에 비가 적게 오면서 지난해 봄까지 이어졌다.
중부지방은 지난해 2~4월 강수량이 적어 가뭄이 나타났다. 이 가뭄은 지난해 5월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면서 해갈됐다. 5월 전국 평균 강수량은 191.3mm로 1973년 이후 세번째로 많았던 것이다. 지난해 연평균 강수량은 1746.0mm로 마찬가지로 역대 3위였다. 지난해 9~12월에는 여름 장마철에 내린 많은 비 덕분에 가뭄이 발생하지 않았다.
최근 10년동안 한해 가뭄이 100일 이상 나타난 해는 2014년, 2015년, 2017년, 2019년, 2022년이었다. 1974년 이후 10년 단위로 100일 이상 기상가뭄이 발생한 햇수를 보면 1974~1983년 1회, 1984~1993년 0회, 1994~2003년 2회, 2004~2013년 2회 등으로 최근 10년간 발생한 횟수가 다른 기간보다 많다.
기상청은 "기상가뭄이 과거에 비해 많이 나타난 수준"이라며 "기후변화로 기상가뭄 연별·지역별 발생 격차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올봄은 이번 겨울에 비와 눈이 많이 내려 가뭄 가능성이 낮다.
지난해 12월 1일~이달 24일 전국 평균 누적 강수량은 134.1mm다. 작년 12월 강수량은 102.8mm로 평년 치(19.8~28.6mm)를 훌쩍 넘어 1973년 이후 12월 강수량으로는 최다였다. 또 이번 달은 현재까지 강수량이 31.3mm로 평년 같은 기간 강수량(21.4mm)보다 1.5배 많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