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로 2050년까지 12.5조달러 경제손실 발생한다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7 15:35:11
  • -
  • +
  • 인쇄
다포스포럼 보고서 통해 '기후위기 해결' 촉구
홍수와 폭염 등 극한기후로 불평등 더 심해져
▲보고서 표지(출처=세계경제포럼)


2050년까지 기후변화로 세계 인구 가운데 1450만명이 추가로 사망하고 12조5000억달러(약 1경6818조7500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16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은 금융컨설팅 기업 올리버와이만(Oliver Wyman)과 공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전세계 이해관계자들이 이에 대응하고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간은 아직 남아있다"고 촉구했다.

이어 "기후변화가 인류건강과 세계경제, 전세계 의료시스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상세한 그림을 제공하고,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며 보고서 작성이유를 밝혔다. WEF는 "이 보고서는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지구의 평균 기온이 2.5℃~2.9℃ 상승하는 것으로 가정해서 분석한 것"고 덧붙였다.

기후변화가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건체계 구축에만 2050년까지 1조1000억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원인은 극한기후로 인한 보건위기와 불평등에서 비롯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홍수로 인해 2050년까지 850만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특히 홍수는 갑자기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사망률을 높이는 위험성이 높다"고 했다.

폭염과 가뭄으로 인한 사망자는 32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폭염은 특히 생산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폭염으로 2050년까지 약 7조1000억달러에 이르는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더불어 연간 약 900만명에 이르는 사람이 대기오염으로 조기사망할 가능성이 높은 등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도 커질 것으로 보았다.

▲2050년까지 기후 위기로 인한 누적 건강 손실 예측(출처=세계경제포럼)


무엇보다 기후변화로 질병이 창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유럽과 미국처럼 이전에 영향을 덜 받았던 지역에서도 기후변화로 매개 질병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로 인해 2050년까지 5억명이 매개 질병에 노출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샤얌 비셴(Shyam Bishen) WEF 보건의료센터장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기후 탄력적인 국제보건망을 구축하지 않으면 그동안의 국제보건 노력은 물거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바네사 케리(Vanessa Kerry) 세계보건기구(WHO) 기후변화 및 보건 특사는 "기후위기는 보건위기이며, 질병, 경제적 파괴, 고통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며 "행동에 나서지 않으면 사망자가 더 늘어날 뿐만 아니라 국제보건에 있어 수십년에 걸쳐 이룬 진전을 잃을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기후위기의 악영향은 불평등하게 미치고 있다. 보고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전세계 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화될 것이며, 여성과 청소년, 노인, 저소득층 등 가장 취약한 인구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짚었다. 특히 보고서는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같은 지역은 자원제한, 사회 안전 인프라, 필수 의료장비 부족으로 인해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취약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국제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실효적인 국제협력을 위해서는 국경과 산업을 초월한 이해관계자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보건시스템을 보다 탄력적이고 적응력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보고서는 촉구했다.

샘 글릭(Sam Glick) 올리버와이만 보건 및 생명과학 전무이사는 "이번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사망률, 이환율, 상호 연결된 거시경제 환경에 미치는 심대한 영향을 조명한다"며 "보고서 내용처럼 기후변화로 인해 의료시스템에서만 1조1000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변화의 충격을 완화하고 모두의 건강한 미래를 보장하려면 지속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기후/환경

+

열돔이 갇힌 유럽과 미국...40℃ 넘는 '극한폭염' 덮쳤다

올여름 북반구 대부분의 나라들이 기록적인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유럽의 낮기온은 40℃까지 치솟고 있고, 미국은 열흘 넘게 '열돔'에 갇혀있다. 우리

기후변화영향평가 제도 시행 3년..."사각지대 개선해야"

'기후변화영향평가'가 시행 3년차에 접어들지만 평가범위가 제한적이고 권고수준에 머무르면서 실효성이 없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에펠탑이 20cm 휘어진다고?...철구조물은 폭염에 약해

폭염으로 프랑스 파리의 상징물인 에펠탑이 약 20㎝가량 휘어질 수 있다.30일(현지시간) 일간 르파리지앵에 따르면 에펠탑은 철골 구조물로, 철강은 열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이래 '최고치'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배경농도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이 30일 발간한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강릉 가시연습지·경포호, 7월 '이달의 생태관광지' 선정

환경부가 7월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위치한 '강릉 가시연습지·경포호'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강릉 가시연습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