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개도국 기후대응에 年 3000억불 지원해야"...노벨경제학자의 일침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10-16 14:02:26
  • -
  • +
  • 인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개발도상국 인플레이션 억제와 기후전환을 위한 대규모 자금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최근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회의에서 200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조지프 스티글리츠(Joseph Stiglitz) 미국 컬럼비아대학교(Columbia University) 경제학 교수는 "개발도상국들이 기후위기에 맞서 싸우기 위해 IMF로부터 연간 3000억달러 규모의 특별인출권을 지원받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개발도상국의 녹색성장과 일자리를 창출을 위해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같은 특약이 각국에 필요하다"며 "그러나 개발도상국 스스로가 이러한 경제정책을 시행할 가능성과 역량은 극히 희박하다"고 밝혔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대응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인플레이션 억제법'을 지난 8월 16일부터 시행하기 시작했다. 이 법은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친환경 일자리 창출과 녹색산업 성장에 약 3700억달러를 투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비슷한 정책을 개발도상국에서도 시행해야 하지만 개발도상국 스스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것이 스티글리츠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개발도상국 스스로 관련정책을 시행할 역량이 없기 때문에 대신 부유국들이 IMF가 매년 3000억달러의 특별인출권(SDR)을 발행해 개도국들이 녹색전환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기후변화의 규모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우리는 더 과감한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며 "누군가가 어떻게 기후위기라는 끓는 냄비에서 탈출할 수 있을지 나에게 묻는다면 나는 특별인출권을 하나의 방법으로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인출권은 유가증권의 한 종류로 IMF가 발행한다. 특별인출권을 받은 국가는 이를 달러로 교환하거나 특별인출권을 담보 삼아 금융기관에 대출을 받을 수 있다. 2021년 IMF는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6500억달러의 특별인출권을 발행했으며, 이 중 일부 잉여분이 저개발국 지원 자금으로 쓰인 바 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특별인출권은 인플레이션 걱정없이 통화 규모를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기후전환 비용을 지원하는데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개발도상국은 미국과 유럽연합(EU)처럼 스스로 자국의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기후위기 대응에 힘을 쏟아붓기 힘들다"며 "그러나 개발도상국과 신흥시장이 배출량을 줄이지 않는 한, 미국과 유럽에서 어떤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지구온난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기후변화에 대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말만으로는 가장 필요한 사람들을 동참시키지 않고 소외시키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최근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개발도상국 지원이 국제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올 6월 영국 그레셤대학교(Gresham College) 아비나시 페르소드(Avinash Persaud) 명예교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관의 개발도상국 지원 재원을 3배로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같은달 제이슨 힉켈(Jason Hickel) 스페인 바르셀로나자치대학(Universitad Autónoma de Barcelona) 환경과학기술연구소 교수를 비롯한 100명의 경제학자들은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부유세를 걷어 이를 개발도상국과 저소득층에게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기내식 용기 '식물성 소재'로 바꾼다

대한항공이 식물성 원료로 만든 기내식 용기를 도입한다.대한항공은 오는 12월부터 밀짚, 사탕수수, 대나무 등 비목재 식물성 원료로 제작된 기내식 용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기후/환경

+

땅속에서도 죽지 않는다...북극 동토층 '좀비 산불'로 몸살

땅속으로 파고든 불씨가 죽지않고 타는 '좀비 산불'이 시베리아와 캐나다, 알래스카 등 북극의 새로운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좀비 산불'은 유기토양

기후취약국들 갈수록 '빚더미'..."기후재원 언제까지 대출받아 피해복구?"

기후재난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기후취약국들이 기후위기를 촉발시킨 선진국들의 책임있는 자세를 다시한번 촉구하고 나섰다.기후

1만2000년만에 분화한 화산...연기 14km까지 치솟아

에티오피아 북동부에 위치한 하일리 굽비 화산(Hayli Gubbi volcano)이 약 1만2000년 만에 처음으로 분화했다고 24일(현지시간) AFP, 가디언 등 외신들이 보도했

"초미세먼지 줄여라"…정부, 석탄발전소 가동중단에 출력제한 조치

온화한 날씨로 인해 올겨울 초미세먼지(PM2.5)가 지난해보다 더 짙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 석탄발전소 최대 17기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