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은행들의 '두 얼굴'...탄소중립 선언해놓고 화석연료에 투자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6 13:58:08
  • -
  • +
  • 인쇄
(출처=액션에이드 홈페이지)

'탄소중립'을 외쳤던 세계 주요 은행들이 개발도상국의 화석연료 산업에 수조달러씩 쏟아붓고 있다.

최근 반-빈곤 국제단체 액션에이드(ActionAid)가 국제무역 컨설팅회사 프로푼도(Profundo)와 공동작성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2022년까지 세계 주요 은행들이 화석연료 산업에 약 3조2000억달러를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금은 대부분 개발도상국의 화석연료 사업에 투입됐다. 보고서는 "개발도상국은 기후위기 최전선에 있는 경우가 많지만 기후행동계획을 수립할 자원이 부족하다"며 "따라서 개발도상국은 탈탄소화와 온난화 대응을 위해 수조달러의 원조가 필요한데 금융회사들은 이런 국가들이 반대 방향으로 나가도록 돕고 있다"고 지적했다.

남미와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에게 화석연료를 탐사하고 채굴하도록 자금을 지원한 곳은 중국공상은행을 비롯해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 체이스 등이다. 이 주요 은행들은 아람코(Aramco)와 엑손(Exxon)같은 글로벌 거대 석유기업들을 통해 자금을 제공했다.

이 은행들은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대규모 산업화 농업에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HSBC은행과 미국 은행들은 ADM, 카길(Cargill), 켐차이나(ChemChina) 등 거대 농업기업에 최소 3700억달러를 대출해주거나 보증해줬다.

문제는 이들이 자금을 지워한 산업화 농업은 환경오염의 온산이라는 점이다. 화학비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오염, 축산으로 인한 메탄 배출, 녹지 개간 등 수많은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산업 농업은 두번째로 지구온난화에 기여한다. 액션에이드 기후정의 담당 테레사 앤더슨(Teresa Anderson) 이사는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금융권의 그린워싱을 잘 보여준다"며 "은행들은 종종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하지만, 화석연료와 산업 농업에 대한 지속적인 자금조달 규모는 놀라울 정도다"고 비판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이 은행들은 앞다퉈 기후공약을 발표했다. 시티은행은 지난해 에너지금융에 대한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2025년까지 농업 대출에 대해서도 비슷한 목표를 설정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HSBC은행도 지난해 12월에 에너지 금융정책을 갱신했다.

당시 지나 바틀렛(Gina Bartlett) HSBC은행 대변인은 "이번 에너지 정책은 HSBC가 더이상 새로운 유전 및 가스전 또는 환경적으로 중요한 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을 위해 새로운 금융 또는 자문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며 "HSBC는 산림 벌채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나아가 산림 벌채에 관련된 고객을 대상으로 한 금융서비스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이 그동안 발표했던 기후공약들은 모두가 공수표였다는 것이 이번 보고서를 통해 들통났다.

게다가 선진국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개발도상국에 원조한 금액보다 이 은행들이 투자한 금액이 훨씬 많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실제로 2016년~2022년까지 세계 주요 은행들은 화석연료와 산업 농업에 연평균 5130억달러씩 투자했다. 반면 선진국들은 매년 평균 222억5000만달러씩 개발도상국에 원조했다. 보고서는 "전세계 선진국들이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에 지원한 금액은 턱없이 작다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녹색투자 연구단체 오일 체인지 인터내셔널(Oil Change International)의 론 스톡맨(Lorne Stockman) 선임연구원은 "이 보고서는 아주 중요하다"며 "많은 화석연료 프로젝트는 금융기관 지원없이는 시작조차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근본적으로 투자 방향을 바꾸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투자 및 개발에 대한 논의는 실패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보고서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계 각국 정부의 재생에너지, 저탄소 재생농업, 빈곤국의 기후적응 계획에 대한 공공보조금 확대, 오염 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줄이기 위한 금융부문 규제강화'를 제시했다. 니란잘리 아메라싱헤(Niranjali Amerasinghe) 액션에이드 전무는 "은행들은 기후파괴에 대한 자금 지원을 즉각 중단하고, 각국 정부는 신속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자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정책연구소(Institute for Policy Studies) 바사브 센(Basav Sen) 기후정책 이사는 "부유국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배상금을 지불해야 하는지를 계산할 때 이러한 왜곡된 금융흐름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